아하
학문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
23.06.20

동양화와 서양화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그림은 크게 동양화와 서양화로 나누어지는데 동양화와 서양화의 기본적인 특서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림을 보고 이것은 동양화다 또는 서양화다 라고 판단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23.06.20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화의 경우 화려한 색을 가지고 있으며 캔버스를 꽉 채운 물감의 색체감, 사실적인 묘사, 강렬한 느낌을 주는 것이 대부분이며, 동양화의 경우 색이 없으며 수묵화라는 전통을 이어 재료와 물감이 주는 느낌이 다릅니다.

    종이에 먹만을 이용해 그림을 그려 모든 상황을 흑백농담으로 표현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화와 동양화는 크게 재료, 기법, 지향하는 정신 세계로 나뉜다.

    일단 재료를 살펴보면 서양화에서는 캔버스에 유화로 그림을 많이 그리는 편이고

    동양화는 얇은 화선지를 깔고 그 위에 먹으로 그림을 많이 그린다.

    그리고 서양화 기법의 특징은 오래 보관이 가능하다는 점이고 광택이나며 세밀하고, 사실을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그린다는 것이다. 세밀한 부분은 동양화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동양화의 먹물 그림에서는 볼 수 없는 그 특유의 세밀함이 더 돋보인다고 할 수 있겠다.

    동양화 기법의 특징은 필력이 필요하단 것이다. 오랜 기간 그림을 그려 필력을 익히고 그 필력으로

    선을 뽑아내는 기법은 정말 감탄을 자아낸다. 그리고 동양화의 그림을 감상하면 여백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백의 미를 잘 살려 그림을 감상할 때 운치가 느껴지고 운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서양화와 동양화의 정신세계도 차이가 확연하다. 일단 서양화는 과학적이고 사실적인 그림을 그린다는 것, 눈에 보이는 것을 직접적으로 그린다는 것, 현실을 그린다는 것이다. 정물화나 풍경화를 감상하면

    실제 그대로를 화폭에 옮겼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동양화는 조금 다르다. 동양화는 정신적 세계를 지향하기 때문에 정신적인면과 은유적인 면,

    감정을 담은 모습이 두드러진다. 정신세계를 표현하고 관념적인 특성이 있는 동양화는 서양화보다는

    정적인 측면도 없지 않아 있는 것 같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화는 서양에 뿌리를 둔 유채화 및 수채화 등을 총칭하는 용어로 양화(洋畵)라고도 합니다.

    한국화는 근대 이후 한국에서 발달한 동양화를 일컫는다.

    두 그림 양식은 파생된 지역이 다르고, 재료도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양화와 서양화는 매우 다릅니다.

    화선지 위에 먹으로 선과 여백을 살려 그리면 동양화, 캔버스 위에 유화물감으로 색채와 원근감, 입체감 등을 살려 그린 것은 서양화라고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