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8.30

피부에 모기 물린듯 한 붉은 반점이 자주 올라옵니다.

발생 빈도 : 잦음.

발생 주기 : 최소 3일에 하나 이상은 생김

주요 증상 :

1. 전혀 가렵지 않음.

2. 발생 초기에 뜨거운 열감이 있음.

3. 경화 진행? 조금씩 단단해지다가 붉은색 -> 어두운색으로 변하면서 서서히 사라짐.

3. 부위에 상관없이 몸 전체 곳곳에서 한 두개씩 생겼다 사라졌다 반복됨. 팔, 다리, 허벅지, 배, 등 말그대로 부위는 랜덤.

추가정보 :

1. 모기는 아닙니다. 워낙 모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모기 관리는 철저합니다. 원룸 거주중이라 모기 단 한마리만 들어와도 발견즉시 제거하고 있어요. 또, 모기는 대부분 가려움을 동반하지만 이건 전혀 가렵지 않아요.

2. 두드러기도 아닙니다. 두드러기의 경우 어릴 때 많이 겪어봤기 때문에 부풀어 오르는 부분이 선명하게 볼록 튀어나오고 미칠듯이 가렵지만 얘는 전혀 그런 종류가 아니에요.

3. 몸에 증상이 발현됐을때 붉은 경계가 선명하게 그려지는 편입니다. (사진의 바깥쪽 원) 또, 가운데쪽에는 좀더 짙은 붉은색으로 뭔가에 쏘인 것 처럼 나타납니다.

이게 도대체 무슨 증상일까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푸른하늘이
    푸른하늘이21.08.31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모낭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모낭염은 세균(특히 포도상구균) 감염, 화학적, 물리적 자극에 의하여 모낭(털구멍)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에요

    모낭염은 스트레스나, 과로, 수면 부족 등에 의해 면역력이 약해진 피부 속으로 균이 침투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콧속의 털을 뽑거나 겨드랑이 털을 면도하거나 타르나 석유 혹은 파라핀이 모공 속으로 들어갔을 때 발생합니다. 원인균은 대체로 독성이 약한 표피 포도상구균일 때가 많으나, 황색 포도상구균인 경우도 있습니다.

    모낭염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해주는 것이 중요해요.

    모낭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곪은 부위를 절개하고 고름을 빼낸 후 항생제를 복용합니다. 만성 염증의 경우 항균, 항바이러스, 항소양 작용이 있는 부신피질호르몬 제제를 피부에 도포하여 치료합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모기 이외에 벌레에 물린 병변같아보입니다.

    질문하신 경과로 보아서도 벌레 물린것으로 생각됩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피부 증상은 저 부위만 보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까지 보면서 병변의 분포도 함께 보아야 합니다. 직접 진료 받으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추측을 해보자면 결절홍반의 경우 다리에 주로 발생하며 가려움증보다 단단해지면서 누르면 통증이 동반됩니다. 하지만 하나만 발생하지 않고 양 다리에 여러개가 동시에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피부과 가셔서 전반적인 몸상태 및 병변부위 정확한 확인이필요할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가정할 경우 피부만의 원인이 아니라 전신적인 증상을 함께 문진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 복용한 약물 영양제 한약등 그리고 감기에 걸리거나 크게 앓았던 적이 있는지 등 만성적인 피부질환을 야기하는 상태에 대해 내과진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