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매매시 보통가 시장가, 기타 등등 많은데, 각각 무엇인가요?
주식 매매시 보통가,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보통가 IOC, 시장가 IOC, 보통가 FOK, 시장가 FOK, 최유리 FOK 등등이 있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그리고, 어느 조건이 가장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보통가 주문 (Regular Order) : 매수 또는 매도하고자 하는 주식의 가격을 지정하지 않은 주문입니다. 주문이 들어온 시점의 최상의 가격부터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시장가 주문 (Market Order) : 즉시 거래를 원하는 주문으로, 현재의 시장가로 주문이 체결됩니다. 시장가 주문은 주식 시장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문 유형입니다.
조건부지정가 주문 (Conditional Order) : 지정한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에만 주문이 체결되는 주문입니다.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특정 가격에 도달했을 때, 특정 주가에 도달했을 때 등이 있습니다.
최유리지정가 주문 (Market-to-Limit Order) : 주문이 시장가로 체결될 경우에는 시장가로,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지정한 가격 이하로 주문이 체결되는 주문입니다.
최우선지정가 주문 (Market-if-Touched Order) : 지정한 가격에 도달했을 때 시장가로 주문이 체결되는 주문입니다.
보통가 IOC 주문 (Immediate or Cancel Order) : 즉시 거래가 이루어져야 하는 주문으로, 지정한 수량만큼 즉시 최상의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주문이 철회됩니다.
시장가 IOC 주문 (Market IOC Order) : 즉시 시장가로 주문이 체결되어야 하며, 지정한 수량만큼 체결이 불가능한 경우 주문이 철회됩니다.
보통가 FOK 주문 (Fill or Kill Order) : 주문이 지정한 수량만큼 즉시 최상의 가격으로 체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문이 철회됩니다.
시장가 FOK 주문 (Market FOK Order) : 즉시 시장가로 체결되어야 하며, 지정한 수량만큼 체결이 불가능한 경우 주문이 철회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가는 현재의 가격을 말하는 것이며, 시장가는 시장에서 체결할 수 있는 최우선가격을 말하는 것이며, 조건부지정가격이라는 것은 내가 특정조건에 주식가격을 결정하는 것이며, 최유리지정가는 시장가와 지정가의 중간정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모든 조건값들은 매수를 하거나 매도를 하는 이의 상황마다 다르다 보니 어느 조건이 유리한지는 본인이 어떻게 매매를 하는지에 달라지기 때문에 답변을 드릴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거래 시 주문 방식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각각의 주문 방식은 주문의 특성에 따라 가격 및 체결 가능성이 달라지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먼저, 보통가 주문은 주문이 접수된 시점의 시장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시장가 주문은 말 그대로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으로 주문을 처리하는 방식이며, 조건부 지정가 주문은 투자자가 입력한 가격이 되면 주문이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최유리 지정가 주문은 주문을 접수할 때 최우선적으로 가장 유리한 가격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최우선 지정가 주문은 최우선 거래 대상이 되는 주문이 먼저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최유리 FOK 주문은 최우선 지정가 주문과 유사하지만, 전량 거래가 보장되는 방식입니다. 시장가 FOK 주문은 시장가격으로 전량 거래가 보장되는 방식입니다.
이 중에서 어느 조건이 가장 유리한지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빠르게 매도해야 하는 경우에는 시장가 주문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주가가 특정 가격까지 떨어졌을 때 매수하려는 경우에는 조건부 지정가 주문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즉, 거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주문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투자자 개인의 투자 전략과 상황을 잘 파악하고, 시장 동향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적절한 거래 전략을 구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