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8.12

우리나라에는 전통적으로 24절기가 있습니다. 이 24절기의 기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전통적으로 24절기가 있습니다. 이 24절기의 기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어떻게 24절기가 생기게 되었는지 어디에서 유례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조선시대 무렵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조선시대 이전에는 음력을 중심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음력은 기후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음력 달력만으로는 농사를 짓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력의 요소를 도입한 것이 24절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4절기는 음력이 아닌 양력과 잘 맞는다고 합니다.

    24절기는 중국의 황하 유역에서 기원한다고 합니다.

    절기(이십사절기, 24절기)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에 따라 24등분하여 계절을 자세히 나눈 것으로 절후·시령이라고도 합니다.

    한국도 중국의 역법을 도입하였기 때문에 24절기를 달력에 표시하였는데, 계절을 나타내는 좋은 표시가 되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달력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4절기란 고대 중국 주나라 때,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날짜를 계산하는 태음태양력(음력)이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계절의 변화는 반영하지 못하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역법입니다.

    절기(節氣)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 특징지은 계절적 구분으로, 동지(冬至)를 한 해의 시작으로 하여 춘ㆍ하ㆍ추ㆍ동 4계절에 각각 6개의 절기가 있으며, 한 절기와 다음 절기의 사이는 평균 15.2일 정도 됩니다 각각의 명칭은 당시 황하(黃河)강 주변 화북(華北)지방의 기후 특징을 나타낸 용어를 붙여 만들어졌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충렬왕 17년(1291) 원(元)나라 사신 왕통(王通)에 의해 도입된 후, 충선왕(재위 1308∼1313) 때부터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태양의 춘분점(0°)을 기점으로 하여 15° 간격으로 나눠 이를 1년의 각 날짜에 적용하여 매년 날짜가 다를 수 있고, 중국과도 시차가 있어 실제 우리나라에 적용했을 경우 날짜 차이가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절기의 개념은 전세계 공통이나 24개 , 명칭 ,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태음력의 단점을 보완한다는 발상은 중국에서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태음력이 이미 있었음에도 태양력을 보조적으로 사용한 것은 계절에 따른 날씨의 변화를 쉽게 알기 어려운 괴리감이 있었던 문제때문으로 태음력은 달의 모양을 통해 날짜를 바로 알기 쉬우나 계절의 변화를 쉽게 알기 어려웠습니다.

    농경 사회였던 동아시아권에서는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어 계절의 변화를 잘 알수있도록 황도에 기준한 절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4절기의 유래는 중국에서 전설상의 태평성대를 일컫는 요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계절의 변화를 기록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동서양 모두 공통적입니다. 태음력으로는 날짜는 알 수 있으나 계절의 변화를 제대로 알 수 없어서 중국에서 처음으로 태양력을 인용하게 되었습니다. 농경사회가 주류인 동아시아에서는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보통 동아시아권에서 쓰이는 역법은 태음력으로 많이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 24절기를 부속단위로 사용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자면 태음태양력으로 불러야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력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24절기의 명칭은 중국 화북 지방,

    그것도 2500년 전인 주나라(周) 당시의 기후를 기준으로 정하여 만들어졌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농사를 목적으로 적절한 시기를 표현한 24절기의 기원은 중국 주 (周)나라 때로 알려져 있는데 농경 사회였던 그 옛날 시대에는 기후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였기 때문에 24절기를 만들었습니다. 24절기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삼국시대 이전에 기록된 문헌에도 관련 내용이 있으니 그 무렵이나 그전에 널리 퍼진 것으로 추정되어 집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우리나라의 24절기는 고대 중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태양의 움직임을 관측하여 계절을 구분한 것입니다. 24절기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와 그 중간에 있는 12개의 절기와 12개의 중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춘분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고, 하지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추분은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고, 동지는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