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싱크홀이 생겨서 사고가 일어나고 있는데 땅속에서 일어나는 일이라서 눈으로는 그 심각성을 알수가 없는데 우리나라 지질탐사를 탐사하는 기관이 땅속 지질의 안전도를 확인할수 없나요?

주로 세계적으로 길에서 많이 싱크홀 발생으로 대형사고가 일어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안전하지 않는것 같고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데 지질연구를 담당하는 긱관이 최첨단기기를 이용해서 땅속안전도를 확인할수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모든 위험을 100%로 예측하는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여겨 집니다.

    최첨단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도시 전체를 상세히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데는 기술력 및 경제적 제한이 존재하며

    일부 특정 지반의 경우는 탐지망을 벗어나 예측이 어려운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최근 싱크홀 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기적인 지하 매설물의 안전진단을 하기 위해서 현재는 지하 탐사 레이더를 활용하여 안전점검을 하고 있습니다. 지하 탐사레이더는 지면에 전파를 발사하여 지하의 다양한 층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지하 지질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 주게 됩니다. 하지만 지하탐사레이더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하시설물 등 깊은 곳에서는 효과를 보기 힘든것이 현실입니다.

    앞으로 지하탐사레이더에 더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 진다면 예측을 통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같이 땅속 지질의 안전성을 전문적으로 조사하고 평가하는 기관들이 있고, 지반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질 조사, 지하수 및 지반 변형 모니터링, 지표투과레이더와 같은 물리탐사, 위성 영상 분석 등 다양한 과학적 방법과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땅속 환경은 매우 복잡하고, 지하수 흐름 변화, 노후된 상하수도관 손상, 주변 공사의 영향 등 여러 요인이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싱크홀의 발생 시점과 위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르는데, 전문 기관들은 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조사하고 관리하며, 싱크홀 사고 예방을 위한 연구와 기술 개발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어 앞으로는 더 다양한 최첨단기기들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