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한알쌍7214
한알쌍721423.04.08

해충이 무려 5만여 마리에 잡아 먹는 '제비'인가요?

제비는 사람에게 친근한 새였던데 요즘 주변에서 보기 힘든 새가 되어 버렸어요.

슬프지만 아주 빠르게 비행하면서 날아다니는 제비는 5만 해충을 잡아 먹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제비가 1년 동안 잡아먹는 해충의 양은 약 5만 마리 정도로 해충방제에 큰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로 돌아오는 제비의 숫자가 예전에 비해 많이 줄어든 형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제비는 매우 빠르고 순간적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어, 공중에서 유연하게 이동하면서 곤충이나 작은 벌레를 잡아먹습니다.

    제비는 일반적으로 1시간에 2,000마리 이상의 작은 곤충이나 벌레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루에 5만 마리의 해충을 잡아먹는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비가 실제로 하루에 몇 마리의 해충을 잡아먹는지에 대한 정확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이는 일종의 추정이며,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제비는 해충을 먹이로 하는 새 중 하나입니다. 제비는 한 번에 수많은 해충을 먹이로 잡아냅니다. 그러나 제비가 하루에 정확히 몇 마리의 해충을 먹는지 정확한 수치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또한, "제비 1마리가 하루에 5만여 마리의 해충을 먹는다"는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는 과장된 표현으로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제비가 잡아먹는 해충의 종류에 따라 그 수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계절과 지역에 따라 다른 먹이를 먹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제비의 크기와 체력, 건강 상태 등도 제비가 잡아먹을 수 있는 먹이의 양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제비는 해충을 먹이로 하는 유용한 새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 농업에서는 제비를 보호하고 살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제비는 비행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날갯짓을 통해 공중에 머물며 작은 곤충들을 쉽게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비가 5만 마리의 해충을 하루에 잡아먹을 수 있는지 여부는 그들의 크기와 종류, 날씨 조건, 생활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통 제비는 일일 2,000마리에서 6,000마리 정도의 작은 곤충을 섭취합니다. 따라서, 하루에 5만 마리의 해충을 잡아먹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제비가 충분한 양의 작은 곤충을 섭취해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면, 그들은 매우 효과적인 해충 방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확실한건 모기 파리가 많이 줄어드는걸 체감하실수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 조금 이롭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기 파리가 전염병의 대표적인 숙주인건 아시죠~?)



    새끼들이있을때는 신경이 날카로워서 위협을 가할수 있으니 조심하시기 바라구요



    독한맘 먹고 제비집 부서 버리면 다시는 오지는 않을텐데 그렇기에는 어르신들의 질타가 너무 힘드시겠죠 ^^;;;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제비는 곤충을 주된 먹이로 하는 새 중 하나입니다. 제비는 빠르게 비행하면서 날아다니기 때문에 많은 양의 곤충을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한 제비가 하루에 잡아먹는 곤충의 양은 약 5천 마리에서 2만 마리 정도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제비는 공중에서 날아다니는 해충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먹이 섭취량은 다양하며 평균적으로 하루에 수백 마리의 곤충을 먹을 수 있다고 추정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개별 제비의 식성과 먹이 섭취량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며, 계절, 날씨, 서식지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날아다니는 제비가 5만마리의 해충을 잡아먹는다"라는 명확한 정답을 제시하기는 어렵습니다. 제비의 식성과 먹이 섭취량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변동되며, 과학적인 연구에 따라서도 정확한 값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제비는 매우 빠르고 손재주가 뛰어나며, 공중에서 쉽게 다른 새와 구분할 수 있는 날개나 깃털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비는 공중에서 비행하면서 다양한 곤충, 벌레, 거미 등 약 5만 마리의 해충을 하루에도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제비는 사람과 함께 살아가며, 우리 주변에서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제비의 서식지 파괴와 같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생태계가 변화하면서, 제비의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공기와 물, 자연 환경을 깨끗이 유지하고, 제비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를 보호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알고계시는대로 제비는 마리당 수명이 다할때까지 약 5만마리 정도의 해충을 먹이로 먹는다고 합니다.

    해마다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제비 개체수가 줄긴했지만 전세계적으로 카운트를 해보면 아직까지 심각한 상황은 아닌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산업고도화로 농촌이 많이 줄어서 개체수가 줄어들었지 않나 전문가들이 판단하고 있습니다.

    도움이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