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31

공기중에 습도가 높고 낮음은 어떤과학적 원리로 정해지는것이고 확인이 가능한가요?

이제 무더운 여름이 다가옵니다. 장마철도 오면 습하다고 일컫어지는 날들이 많아질텐데요. 그런데 공기중에 습도가 높고 낮음은 어떤과학적 원리로 정해지는것이고 확인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5.31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 중의 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수증기는 대기 중의 수분 분자가 수증기 분자로 변환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수증기 농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습도는 상대습도라는 지표를 통해 측정됩니다. 상대습도는 현재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와 대기가 포화 상태일 때의 수증기 농도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습도는 습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습도계는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를 측정하여 상대습도로 나타내주는 장비입니다. 일반적으로, 습도가 높을수록 공기가 끈적하고 불쾌감을 유발하므로, 습도를 측정하여 실내 환경을 좀 더 쾌적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를 흡수하면 전기저항도가 바뀌는 물질을 이용합니다.

    수분흡수를 할 수록 전기저항도가 감소하는정도를 측정합니다.

    감사합니다.


  • 일반적으로 상대습도가 50% 이상이면 습한 날씨로 간주되며, 습도가 70% 이상이 되면 매우 습한 날씨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상대습도는 기상청이나 날씨 앱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습도계도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 압력은 공기 중의 수증기 분자의 수와 그 운동에 의한 압력입니다. 수증기 압력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며, 일정한 온도에서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 분자의 수가 일정해집니다. 온도가 낮을 수록 이 수중기 압력은 내려가며, 온도가 높을 수록 올라가게 됩니다. 습도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습도계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습도계는 대기 중의 수증기 압력을 측정하여 상대 습도를 계산하는 기기입니다. 이외에도 이슬점 측정, 수증기 압력과 온도의 관계를 이용한 수학적인 계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습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학적인 원리와 측정 기술을 통해 습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습기를 머금은 바람이 불어오거나, 구름이 많이 끼고 비가 내리면 습도가 올라갑니다. 반대로 차고 건조한 바람이 불어오면 건조해지고 습도가 내려 갑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 습도의 함량을 %로 환산하여 수치화 합니다.

    이 수치를 기반으로 하여 습도가 높고 낮음을 정합니다.

    일반적으로 50정도가 중간입니다.


  • 안녕하세요. 나명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측정의 원리는 물 분자나 수증기가 가지는 고유한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는 것과 흡습성 물질에 물 분자가 흡착되어 그 물질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각 방법에 따라서 다르지만, 크게 직접 측정과 간접 측정으로 나뉩니다. 직접은 기화로 인한 현상으로, 간접은 전도로 인한 현상으로 측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의 높고 낮음은 자연적인 대기 현상이라고 할 수 있구요.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기는 여러 방법이 활용되고 있죠.

    습도측정의 원리는 물 분자나 수증기가 가지는 고유한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는 것과 흡습성 물질에 물 분자가 흡착되어 그 물질의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종류는...노점습도계, 건습구습도계, 확산식습도계, 적외선습도계 등이 전자에 속하고,

    모발습도계, 박막 또는 후막 습도계, 색습도계 등이 후자에 속합니다. 습도측정 방법에 따라서도 많은 습도계가 있는데요ㅛ

    대표적으로 포화에 의한 방법으로 노점습도게, 흡수에 의한 방법으로 중량식 습도계, 증발에 의한 건습구 습도계가 있구요

    간접적인 방법으로는 모발습도계, 색습도계,근적외선 습도계,방전식 습도계 등등 많은 방법을 활용하고 있답니다..

    도움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라는 것은 공기중에 있는 수분의 양입니다. 따라서 수증기가 많을 수록 습한건데요. 수증기라는 것은 물이 증발되어서 발생되는 것으로 태양이나 불에 의해서 발생되 수증기가 공기중에 있는 것이 습도 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낮으면 수증기가 되기 어려우니깐 공기중에 습도가 낮고 온도가 높으면 수증기가 될수 있으니깐 습한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