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얼음의 표면이 미끄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물이 섭씨 0도 이하에 있으면 얼어서 얼음이 됩니다. 물이 언 얼음의 표면은 엄청 미끄러운데, 얼음의 표면이 미끄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얼음이 미끄러운이유는 아직 정확하게 이유가 밝혀지진 않았다고 합니다. 간단하게 생각해서 얼음에 압력을가하면 얼음 표면이 녹아 물이 되서 미끄러운게 아니냐하고 생각할 수있는데 얼음에 1기압정도의 압력을가해도 어는점을 고작 0.01도 정도 낮출수 있다고합니다 또한 영하20~30도의 아주 추운곳에있는 얼음도 미끄러운건 마찬가지입니다.그러나 영하 40도 정도로 낮아지면 얼음의 미끄러움이 사라지고 사포처럼 까끌까끌 해진다고 합니다. 1996년 미국 연구진이 얼음표면에 보이지 않는 물층이 존재한다는 표피층이론을 증명하였고 실제로 영하 20도에서 얼음 표면에 물분자가 있다는것을 관찰했다고 합니다. 쉽게 알것 같지만 아직 명확한 원인은 나오진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