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24.01.17

[물리학] 빛은 현재속도보다 더 빨라질 수는 없는건가요?

빛은 속력이 30만km정도로 알고 있는데요,

어떻게 이 속력을 유지할 수가 있는건가요? 더빨라지거나 느려질 수는 없는 건가요?

만약 빛이 더 빨라진다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자체는 현재보다 더 빨라질 수 없고 이론적으로는 음의질량을 가진 물질만이 빛보다 빨라질 수 있다고합니다.

    빛보다빠르게 이동하면 이론적으로는 시간축이 거꾸로흐르거나 공간의 왜곡이 가능하여 웜홀과같은 시스템을 만들수도 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는 더 빨라지게 할수는 없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의해 속도를 높이려고 하면 할 수록 물체의 질량이 늘어나게 되는데 빛의 속도의 99.999% 에서는 질량이 224배 늘어나고 99.99999999% 에서는 7000배 이상이 늘어난다고 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전자기파로 이루어진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전자기파는 진공에서 속력이 30만km 정도로 이동합니다. 이 속력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우리가 느끼기에는 순간적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빛이 이 속력을 유지하는 이유는 빛이 전자기파이기 때문입니다. 전자기파는 진공에서 이동할 때 속력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것은 빛이 전자기파이기 때문에 전자기파의 속력이 바뀌지 않는다는 물리 법칙에 따른 것입니다.

    빛의 속력은 더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 없습니다. 이것은 빛이 전자기파이기 때문에 전자기파의 속력이 바뀌지 않는다는 물리 법칙에 따른 것입니다. 만약 빛이 더 빨라진다면 빛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약해지게 됩니다. 이는 빛의 속력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 빛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약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빛이 더 빨라진다면 빛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빛의 진행 방향이 불안정해지게 됩니다. 이는 빛의 진행 방향이 불규칙하게 바뀌는 현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만약 빛이 더 빨라진다면 빛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약해지게 되어 불안정한 현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빛의 속력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 빛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약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빛의 속력은 여전히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모든 관측자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그 이유는는 빛의 속도가 매우 특별한 속도이기 때문이며 빛의 속도가 한계속도인 이유는 빛의 질량이 0이기 때문입니다.

    질량이 없는 입자가 어떠한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그 속도를 늘릴수록 그 입자가 가져야 할 운동에너지는 무한대로 증가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빛보다 빠른 속도를 가지면 이론상 무게는 무한대가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를 초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전자기파의 한 종류로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자기파는 진공에서 항상

    일정한 속도로 전파되며

    이 속도는 약 30만 km/s입니다.

    빛이 이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설명됩니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관측자의

    운동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합니다.

    빛을 내는 물체가 아무리 빠르게

    움직이더라도 빛의 속도는

    변하지 않습니다.

    빛이 더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는

    없습니다.

    빛의 속도는 진공의

    특성이며 진공은 아무런

    물질이 없는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물질이 존재하는 공간에서는

    빛의 속도가 줄어들 수 있지만

    진공에서는 빛의 속도가

    변하지 않습니다.

    만약 빛이 더 빨라진다면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시간의 흐름이 느려지고

    질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공간이 압축되고 에너지가 무한대로

    증가하게 됩니다.

    빛이 더 빨라지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은 우주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은 우주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은 우주에서의

    거리와 시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는 현재로서는 가장 빠르다고 알려져 있으며, 상대적으로 더 빨라질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진공 상태에서는 초속 299,792,458km로 이동합니다. 이 속도는 광속이라고 불리며, 자연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입니다.

    빛이 이 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빛의 본질 때문입니다. 빛은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전기장과 자기장이 진동하면서 전파되는 현상입니다. 전기장과 자기장은 서로 영향을 미치며, 이 영향으로 빛은 일정한 속도로 전파됩니다.

    빛이 더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는 없습니다. 이는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증명되었습니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관측자의 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합니다. 즉, 어떤 물체가 아무리 빠르게 움직여도 빛의 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습니다.

    만약 빛이 더 빨라진다면, 시간과 공간의 개념이 바뀌게 됩니다. 빛의 속도는 시간과 공간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상수이기 때문입니다. 빛의 속도가 더 빨라지면, 시간과 공간의 관계가 변하게 되고, 이는 우주의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는 자연계의 근본적인 상수이며, 빛이 더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는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7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금까지 상대성이론을 깬적이 없으며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은 30만 키로미터를 초과할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