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근면한하마253
근면한하마25323.11.01

열하일기를 금서목록으로 정하는데 그 배경은 무엇인가요?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대표적인 우리나라 문학 작폼입니다. 박지원이 청나라를 갖다와서 열하일기를 집필하는데요 그런데 당시 조선에서는 이 열하일기를 금서목록으로 정하는데 그 배경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당시 조선 학자들이 청을 오랑캐로 비하하며 멸시하는 경향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박지원은 청의 문물 및 제도, 정책, 조직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면서 효용성과 실용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열하일기』는 조선후기 실학(實學)에 관심이 많았던 지식인들 사이에많이 읽혀지게 되므로『열하일기』는 정조대 문체와 내용이 문제시되어 금서로 묵혀 있다가 1911년 조선광문회에서 활자본으로

    출간되면서 다시 읽혀지기 시작하였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세기 정조는 사회가 혼란 스럽게 된 이유로 당시 유행하던 문체가 바로 그 원인 이라고 생각 한다고 합니다. 그 근원에 바로 < 열하일기> 가 있다고 생각 했기에 이 책을 금서로 만들어 보린 것 이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열하일기가 금서로 지목된 것은 문체반정입니다.

    문장이 잡스럽다는게 표면적인 이유였으나 실은 정조가 백탑파로부터 등을 돌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박지원 홍대용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 백동수 등 젊은 실학자로 구성된 백탑파는 정조와 뜻을 함께해 국가의 혁신을 꿈꿨으나 정조가 백탑파의 문체가 단정하지 못하다며 탄압한 것입니다.

    문체반정이 일어난 직접적 계기는 1792년 이동직의 정조의 총애를 받던 남인 시파 이가환의 문체를 문제 삼아 상소를 올린 것에서 시작, 이에 대해 정조는 이가환을 두둔하며 당시 유행하던 불순한 문체는 박지원과 그의 저작인 열하일기에 근원이 있다고 하여 박지원으로 하여금 순정한 고문을 지어 바칠것을 명합니다.

    그러나 이에 앞서 정조는 당시 유행하던 패관잡기체의 문체에 비판적 의식을 지니고 있었고 1787년 이상황과 김조순이 한원에서 숙직하며 당송백가소설 , 평산냉연 등의 책을 보다 발각되자 정조는 두 사람에게 오로지 경전에 힘쓰고 잡서를 보지 말라 하며, 1791년 서학문제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서양학을 금하려면 먼저 패관잡기부터 금해야 하고, 패관잡기를 금하려면 먼저 명말청초 문집부터 금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웁니다.

    1792년 중국에 사신으로 가는 박종악에게 패관소기 및 일체의 중국 서적을 사오지 말라고 명하고 주자의 어류를 뽑은 주자선통을 비롯해 당송팔대가의 대표적 고문을 뽑은 팔자백선 등을 출간해 고문의 모범을 제시합니다.

    정조는 황경원 , 이복원, 성대중의 문장을 모범적인 고문으로 규정하고 당시 인기를 얻고 있던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대표적인 불순한 문장으로 지적하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