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환한슴새70
환한슴새7022.09.19

왜 가을하늘은 높다고 하나요? 실제로 그런가요?

가을하늘이 높다, 천고마비 등 여러 말이 있습니다.. 실제로 더 높은건가요? 아니면 구름이 잘 안껴서 높아 보이는건가요?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실제로 하늘이 더 높은 것은 아닙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하늘이 높낮이는 햇빛의 산란에 의해 결정됩니다.

    가을엔 대기 중의 먼지가 다른 계절보다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따라서 더 높은 고도에서 빛이 산란이 되고, 하늘을 보면 더 높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공기중의 먼지가 제거되면서 빛의 산란현상이 더 잘일어나 하늘이 높아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부터 이해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늦장마가 끝나고 나면 보통 가을이라고 보는데 시베리아 벌판의 공기가 우리나라로 다가오기 시작합니다.

    이때부터 높은 하늘을 실감할 수 있는데 하늘이 높게 보이는 것은 공기 중에 먼지가 적어서 낮은 고도에서 빛의 산란이 적기 때문입니다.

    산란은 태양빛이 먼지나 작은 입자에 부딪혀 부서지는 것으로 하늘의 파란색을 볼 수 있게 해 주며 하늘의 색이 파랗게 보이는 것은 아주 높은 곳의 미세한 공기 분자에서 태양빛이 산란하기 때문입이다. 만약 산란이 없다면 하늘은 검게 보였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