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풍족한직박구리212
풍족한직박구리21223.03.20

스위스의 크레디트 스위스라는 은행을 UBS가 인수해서 뭐가 달라지나요?

스위스의 크레디트 스위스라는 은행을 UBS가 인수해서 뭐가 달라지나요? 우리나라는 문제가 될만한 은행이 있을까요? 금융권발 금융위기가 오는게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크레디트 스위스와 UBS는 모두 스위스의 대표적인 금융기관 중 하나입니다. 2014년 UBS는 크레디트 스위스의 부실 부동산 자산을 인수하였으며, 이로 인해 UBS는 크레디트 스위스의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인수가 미치는 영향은 크게 있지 않습니다. 인수 이후 UBS는 크레디트 스위스의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뿐이며, 크레디트 스위스는 계속해서 자체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문제가 될 만한 은행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은 최근 국내외 금융위기를 겪으며 안정성이 높아졌습니다. 또한, 국내 금융감독당국은 금융기관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금융위기가 올 가능성이 있을지는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융위기에 대한 대처 능력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USB뱅크가 크레딧스위를 인수할 경우 크레딧스위스의 파산 위험이 감소하여 금융시장의 안정성이 다소 회복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재무건정성이 양호하여 시중은행이 파산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UBS가 인수하게 된다면 아무래도 다른 국가의 화폐가치나 경제에

    영향을 줄수가 있기 때문에 인수를 검토하는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을 인수함으로써 부채도 같이 인수하기 때문에 파산의 위험을 인수하는 기업이 같이 짊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파산의 위험을 막았고 다른 은행이나 기업으로 번지는 것을 막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최근 저축은행 건전성 검사에서 이상없다는 판정을 받았고 추가적으로 pf대출의 부실도 정부에서 보장을 해주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재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은행을 UBS가 인수하였기 때문에

    더 큰 위기는 지나갔다고 보여지며 우리나라까지

    영향을 미칠지는 조금 더 지켜보아야 겠으나 미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UBS가 CS를 인수함으로 인해서 CS의 부실화로 인한 스위스를 포함한 유럽 전체의 뱅크런 사태를 어느정도 잠재울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게다가 CS이 UBS에 인수되지 않고 파산절차까지 가게 되었다면 해당 은행에 자금을 예치한 이들이 자금이 묶이면서 연쇄적인 도산까지 이루어질 수 있었기에 이러한 경제공황을 막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저축은행들과 증권사들이 현재 부실화의 도화선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금리가 인상되자 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한 저축은행은 법정최고금리 상한선 때문에 20%이상의 금리를 받지 못하게 되면서 수익성 또한 나빠진 상황에서 PF대출의 연체 잔액이 급증하고 있어 향후 PF대출이 실제 부실화되어 회수불능 채권이 되는 경우에는 저축은행발 뱅크런 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