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페니실린이 발명되었으나 최근에 매독이 증가하고있다던데 특별한 이유가있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50

매독이라는 성병은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까지 창궐했던

악명높은 성병으로 아는데요

전염성도 높고 치료가 되자않아 엄청 큰 문제였다고 아는데요

초기엔 수은을 치료제로 쓰면서 부작용도엄청 났다고 하는데

이후 살바르산도 사용되었다고 압니다

1900년대 초에

결국 플레밍에 의해 페니실린이 발견됨으로서

매독이라는 질병의 치료에 전환점이 된 걸로 아는데요

실용화는 1940년대 로 압니다.

하지만 최근에

다시 매독이 성행하고 있다는 뉴스를 접했습니다.

페니실린의 상용화에 따라

매독은 거의 자취를 감춘걸로 들었는데

왜 최근에 다시 매독이 증가하고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페니실린의 발견과 함께 매독은 한때 극적으로 감소했습니다. 이 항생제는 매독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었고, 이는 20세기 중반에 이 질병의 확산을 크게 줄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매독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는데요, 이에 대한 몇 가지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현대 사회의 변화된 성행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성 교육의 부족과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의 증가는 여러 성병의 확산을 용이하게 만들었습니다. 특히 휴가철이나 축제 기간 동안 모르는 사람들과의 접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전염의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익명성이 보장되는 만남이 쉬워지면서, 성관계 네트워크가 확장되었습니다. 이는 매독과 같은 성병의 전파를 더욱 가속화하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항생제 내성 문제도 언급해야 합니다. 매독 치료에 여전히 페니실린이 효과적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이 증가하면서 감염질환에 대한 대응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매독은 현재까지 페니실린에 대한 뚜렷한 내성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다른 항생제에 대한 내성 문제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보건의료 접근성의 차이도 한 몫 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고, 이에 따라 초기 증상에도 불구하고 제때 치료받지 못해 매독이 확산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최근 매독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성교육 강화, 안전한 성관계 문화 조성, 그리고 차별 없는 의료 서비스 제공이 중요하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HIV 치료가 발전하면서 감염에 대한 두려움이 줄고, 이에 따라 콘돔 사용이 줄어든 것이 매독 등 성병 확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됩니다.

    또한 여러 성 파트너와의 관계, 익명성 높은 만남, 온라인 데이팅 앱의 확산 등으로 성병 전파 위험이 높아졌습니다.

    매독은 여전히 페니실린 등 항생제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예방, 성병에 대한 경각심, 정기적 검사와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