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심각한군함조182
심각한군함조18221.10.18

코로나 2차 백신접종시 교차접종이 안되는 조합이 있나요?

예를 들어 아스트라제네카는 화이자나 모더나랑 안된다던지 이런 경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1차를 아스트라제네카를 맞았는데 화이자나 모더나를 2차에 교차접종이 안된다면 아스트라제네카만 맞아야 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교차접종은 1차는 아스트라제네카, 2차는 화이자로만 허용이 됩니다.

    다른 경우는 교차접종이 안됩니다.

    다만, 향후 부스터샷은 아스트라제네카를 접종하였다면 부스터샷은 화이자나 모더나를 접종할것으로 보이고,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를 교차접종하였다면, 부스터샷은 화이자를 접종할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20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https://www.chosun.com/national/welfare-medical/2021/07/21/YAKMSNB2PREGLJBRFPFA7V6LHM/


    이 기사가 잘 정리한 편인데

    화화>아화>화아>아아 순으로 항체 형성치가 높게 되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기타 치명적인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아 교차접종의 안정성은 입증된것 같습니다.

    화이자 모더나 교차접종은 국내에서 주로 시행되어 아직 통계자료가 미흡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스트라제네카로 1,2차 모두 접종하는 것보다 2차는 화이자로 교차 접종하는 것이 더 효과가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부작용의 경우 교차접종에서 특별히 달라지는 부분은 없습니다. 현재까지 결과이고 장기적인 데이터는 더 필요합니다. 모더나와 화이자 간의 교차접종은 데이터가 부족하나 우리나라의 백신 수급문제 때문에 교차접종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교차 접종은 특수한 상황 이외에는 시행하지 않습니다.
    1차 접종 후 금기대상(아나필락시스 반응,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이 된 경우, 의사 소견에 따라 서로 다른 플랫폼의 백신으로 2차 접종이 고려됩니다. 해외에서 1차 접종한 백신이 국내 미승인 되었거나 없는 경우, 사용 가능한 백신으로 2차 접종 진행하며, 1차 접종 백신 종류를 모르는 경우, 사용 가능한 백신으로 12주 간격으로 2차 접종 진행합니다. 1차 접종과 동일 백신이 국내에 없는 경우(공급 불가능), 1차 접종 백신이 연령제한 등으로 접종이 어려운 경우에는 사용 가능한 백신으로 2차 접종 진행하며 의학적 사유로 인해 1차 접종 백신과 다른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고 의사가 판단한 경우에 교차 접종을 시행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는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제외하고는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습니다.

    교차접종은 말 그대로 서로 다른 백신을 섞어서 맞는 것을 의미합니다.

    교차접종을 실시하는 가장 큰 이유는 불안한 백신 수급 상황이며 보통의 질환에서는 교차 접종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재 동일한 백신을 2번 맞는 것보다 면역 효과가 더 좋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으나 추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도 사실입니다.

    교차접종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대표적인 부작용은 일반 접종과 다르지 않지만 경증이상의 반응이 상당히 자주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또한 충분히 시간이 지난 이후에 어떠한 부작용이 나타날지는 아직까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현재로서는 교차접종을 통해 일단 접종을 신속하게 마쳐 집단 면역을 유도하려는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교차접종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세계적으로 교차접종에 대한 명확한 결과나 지침같은 것은 없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az 백신의 혈전 위험성 때문에 현재 교차접종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는 교차접종이 허용되지 않으니 원하셔도 같은종류의 백신을 맞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1차 아스트라제네카 2차 화이자 외에는 교차접종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1차 아스트라제네카 맞았다면 2차 화이자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다행히도 문의주신 내용은 별로 고민할 것이 없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를 1차로 맞으셨다면 국내에서는 교차접종은 화이자로만 가능합니다. 물론 외국은 모더나로 2차 교차접종을 하기는 하구요. 나이가 젊으시다면 아스트라제네카로 2차접종 보다는 교차접종을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