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실내 라돈 발생 원인과 농도 저감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실내 라돈 농도가 증가하게 되면 폐암 발병 위험이 높아 진다고 하는데요 실내 라돈 발생 원인은 무엇이며 실내 라돈 농도 저감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라돈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무색무취의 방사성 기체로, 흡입 시 폐암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내 라돈의 가장 큰 원인은 지각의 토양이나 암석에 존재하는 우라늄이 붕괴하면서 발생하는 라돈 가스가 건물 기초나 벽의 갈라진 틈, 배관 틈 등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입니다. 특히 화강암 지대에서 농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부 건축 자재에도 미량의 우라늄이 포함되어 라돈이 방출될 수 있으며, 우라늄이 녹아 있는 지하수를 사용할 때도 라돈이 기화되어 실내 공기 중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실내 라돈 농도를 낮추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쉽고 효과적인 방법은 충분한 환기입니다. 창문을 자주 열어 외부 공기와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라돈 농도를 낮추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건물 기초나 벽, 바닥의 갈라진 틈이나 배관 주변의 빈틈 등 라돈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를 실리콘이나 퍼티 등으로 꼼꼼하게 막아 라돈 유입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실내 라돈은 주로 토양 가스와 건축 자재에서 방출됩니다.

    특히 신축 아파트 경우 라돈 농도가 일반 주택 보다 2배이상 높게 나타나며, 이는 합판이나 석고보드 및 벽지 등

    마감재에서 라돈이 방출됩니다. 이를 저감 하기 위해서는 창문을 자주 열어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좋으며

    환기청정기나 전열교환기를 통해 공기 정화 효과를 보는게 좋습니다.

    혹시나 바닥 이나 벽이 갈라져 있다면 틈을 보강재로 밀봉하는 것이 좋으며, 건물 지하 및 지하 창고는 환기팬을

    활용해 라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라돈은 WHO에서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으며 토양과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무색무취의 방사성 기체로써 실내 밀폐된 환경에서의 라돈 농도는 위험합니다. 이러한 폐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라돈으로 많이 노출될 경우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실내의 라돈 농도를 저감시키는 방법은 주기적인 환기가 중요합니다. 환기는 라돈의 농도를 낮추고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라돈이 발생될 수 있는 바닥이나 벽 틈새를 꼼꼼히 메우는 것도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