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4.04.02

주기율표의 배치는 어떤 원리로 이루어진거죠?

학교다닐때 외웠던 주기율표상의 원소들은 어떤 원리나 근거를 가지고 위치를 하게되는건가요? 새로운 원소가 발견되면 원소위치가 바뀌기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주기율표는 화학 원소들을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열과 세로의 그룹으로 나누어 배열한 표입니다. 주기율표의 원소들은 원자 번호와 전자 배치에 따라 위치가 결정됩니다. 주기율표에서 가로로 이어지는 행을 주기(period)라고 하며, 세로로 이어지는 열을 원소군(group)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원소가 발견되면 해당 원소의 화학적 성질과 전자 배치를 고려하여 주기율표에 적절한 위치를 할당합니다. 새로운 원소의 발견으로 인해 주기율표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과학전문가입니다.

    주기율표의 원소들의 순서는 원자를 구성하는 요소의 수에 따라 배치된 것입니다.

    예를들면 수소는 양성자 1개와 전자 1개를 가져 1번,

    헬륨은 양성자 2개, 전자 2개를 가져 2번입니다.

    원자번호 3번인 Li는 양성자 3개 전자 3개를 가집니다.

    번호는 그렇게 정해진 것이고, 원소의 배열의 경우 최외각전자와 전자 껍질수에 따라 함께 묶게됩니다.

    전자의 배치는 완전히 무작위적이지 않고 일종의 규칙을 가집니다.

    최외각 전자를 제외하고 안쪽에 배치된 전자는 비교적 안정되기 때문에,

    원소에 따라 나타나는 많은 특징이 최외각전자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최외각 전자의 수가 같은 원소는 비슷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같은 족으로 분류합니다.

    양성자수와같은 일정한 규칙으로 숫자가 부여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원소가 발견되어도 원소의 번호가 바뀌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기율표는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원소들을 꽤 합리적으로 배치하고 있지만,

    이보다 더 합리적인 배치가 나온다면 주기율표의 구조가 바뀔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주기율표는 원자번호 순서대로 배열되며,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전자껍질의 수가 증가하고, 같은 족에 있는 원소들은 최외각 전자의 수가 같기 때문에 비슷한 화학적 성질을 보인다는 주기성을 기반으로 배치됩니다. 즉, 가로줄인 '주기'는 전자껍질의 수를 나타내며, 세로줄인 '족'은 최외각 전자의 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같은 족에 있는 원소들은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고, 같은 주기에 있는 원소들은 전자 배치가 비슷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주기율표의 배치는 원소들의 원자 번호와 그들의 화학적 성질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원자 번호는 원자핵의 양성자 수를 나타내며, 그 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슷한 성질을 가진 원소들이 주기적으로 나타납니다.

    주기율표는 러시아의 화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처음 제안했으며 그는 원소들을 원자량에 따라 배열했습니다. 그 후, 헨리 모즐리는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를 개량하여 원자번호순으로 배열했는데, 이는 현대의 원소 주기율표와 유사하죠.

    주기율표의 가로행은 주기라 부르고, 세로열은 족이라 하는데, 주기마다 같은 성질의 원소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같은 족의 원소들은 서로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보아며 이러한 화학적 성질은 각 원소의 전자 배치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