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에서도 문관 관료로서 4품 이상을 대부, 5품 이하를 사(士)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사대부는 때로는 문관 관료뿐 아니라 문무 양반관료 전체를 포괄하는 명칭으로도 쓰이고는 했습니다. 이들은 유교를 공통 적으로 사회 윤리 생활 철학으로 여기었고 평상 시에도 유교의 기본 학문인 논어, 맹자, 중용, 대학등을 읽고 외우기를 습관화 했습니다. 예를 중요시 해서 조상에 대한 예, 군신 간의 예, 친구 간의 예, 부부 간의 예 등을 지키고자 했습니다.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불교는 조선 시대에는 숭유 억불 정책으로 그렇게 까지 유행 하진 않았지만 조선 시대에도 불교를 믿으며 내세 사상을 가지는 양반들도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이가 바로 이성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