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수려한콰가118
수려한콰가118

렛저나노에 사용되는 저장 key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라이빗키의 Key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 인건가요?

보통 프라이빗 키와 퍼블릿키를 사용하거나 단일 프라이빗 키를 활용하여 사용을 하게 되는데요.

재가 MOC 관련 레포팅을 읽어보니 ECDSA는 스테이킹 용 콜드키이고 BLS는 블록 증명 용 핫 키라고 나와 있었습니다.

  • 그렇다면 렛저나노에 사용되는 저장 key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라이빗키(퍼블릿키)의 Key 방식과는 전혀 다르다고 보면 되는건가요?

  • 혹시... 재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SAMSUNG
      SAMSUNG

      안녕하세요. 그렇다면 렛저나노에 사용되는 저장 key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라이빗키(퍼블릿키)의 Key 방식과는 전혀 다르다고 보면 되는건가요? 라고 문의를 하셨는데요.

      렛저나노의경우 ECDSA 알고리즘으로 키를 생성한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핫월렛과 하드월렛의 가장큰 차이점이 일반적인 핫월렛의 경우 하나의 지갑주소에 하나의 니모닉 과 프라이빗키가 생성이 됩니다.

      예를 들면 이더리움지갑,비트코인지갑,이오스지갑 을 통합 지원하는 핫월렛의 경우 3가지 지갑을 생성하려면 3가지 니모닉 또는 프라이빗키를 다 보유하고 있어야 지갑 복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하드월렛의 경우 처음에 생성되는 니모닉으로 또는 시드하나로 하드월렛에서 제공하는 모든 지갑을 복구할수 있게 됩니다. 그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비트코인,비트코인캐시,리플,이더리움등의 지갑들이 하나의 니모닉 또는 시드로 복구가 한꺼번에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참고로 ECDSA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는 PDF 문서링크를 첨부해 드립니다.

      https://www.rootca.or.kr/kcac/down/TechSpec/2.1-KCAC.TS.DSIG.pdf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