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아하취준생
아하취준생
24.10.16

위험물의 종류와 그 특성에 따라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한 기본적인 안전 수칙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자격증을 취득후에

위험물의 종류와 그 특성에 따라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한 기본적인 안전 수칙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차무영 산업안전산업기사입니다.

    일단 위험물은 제1류 ~ 제6류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과 안전 수칙을 참고 해보세요.

    제1류 (산화성 고체):

    가연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화기 및 고온에 주의합니다.

    습기를 피하고 용기는 밀폐하여 보관합니다.

    제2류 (가연성 고체):

    화기 및 점화원과의 접촉을 피합니다.

    산화제와의 접촉을 피합니다.

    습기를 피하고 용기는 밀폐하여 보관합니다.

    제3류 (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

    공기 및 수분과의 접촉을 피합니다.

    용기의 파손 및 부식을 방지합니다.

    다량 저장 시 희석제를 혼합하거나 수분 침입을 방지합니다.

    제4류 (인화성 액체):

    화기 및 점화원과의 접촉을 철저히 피합니다.

    용기는 밀폐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저장합니다.

    증기 및 액체의 누설을 방지합니다.

    제5류 (자기 반응성 물질):

    가열, 충격, 마찰 등을 피합니다.

    점화원 또는 분해를 촉진시키는 물질로부터 격리합니다.

    포장 외부에 충격 주의, 화기 엄금 등의 표시를 합니다.

    제6류 (산화성 액체):

    가연물, 물, 유기물 및 고체 산화제와의 접촉을 피합니다.

    내산성 용기를 사용하고 밀폐하여 누설을 방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규 산업안전산업기사입니다.

    위험물을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해서는 위험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본적인 안전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위험물의 종류

    인화성 물질: 알코올, 휘발유, 톨루엔 등은 발화점이 낮아 쉽게 불이 붙습니다.

    폭발성 물질: 다이너마이트, TNT 등은 충격, 열, 마찰에 의해 폭발할 수 있습니다.

    산화성 물질: 과산화수소, 질산 등은 산화반응을 통해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부식성 물질: 황산, 염산 등은 피부에 닿으면 심각한 화상을 입히고, 금속을 부식시킵니다.

    독성 물질: 시안화수소, 메탄올 등은 적은 양으로도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2. 안전 수칙

    보관: 위험물은 종류별로 분리 보관해야 하며, 특히 인화성 물질과 산화성 물질은 함께 두면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각 위험물은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하며, 불꽃이나 열원에서 멀리 둡니다.

    취급: 취급 시 반드시 보호 장비(보안경, 장갑, 마스크 등)를 착용하고, 전용 용기를 사용해 물질을 안전하게 다룹니다.

    작업 환경: 작업 장소에는 반드시 소화기와 비상 대피 경로가 있어야 하며, 화재 감지기와 같은 안전 장치도 마련해야 합니다.

    누출 대비: 위험물이 누출될 경우 즉시 누출 방지 조치를 취해야 하며, 화학 물질의 특성에 맞는 흡수제나 처리제를 준비해야 합니다.

    교육 및 훈련: 위험물 취급자는 반드시 안전 교육을 이수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비상 상황 대처 훈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수칙들은 기본적인 내용으로, 각 사업장 및 물질에 따라 추가적인 안전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추가적으로 문의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오 산업안전산업기사입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항상 위험물에 맞는 안전장비와

    보호구를 착용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유해위험안전수칙에 의거해서 취급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용 산업안전산업기사입니다.

    일단 가장 기본적인 안전수칙은 각종 방호망이나 방호구를 설치하고, 근로자도 필히 2인이상 작업하며 방호복이나 마스크등을 착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