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질문자임
질문자임23.01.12

태조당시 고려는 황제국가가 아닌 자주국가??

고려 태조당시 고려는 황제국가기 보다는

자주국가인 왕을 칭한것인가요?

대조선국의 대군주처럼요

또한 후당과 후진은

고려를 대외적으로도 자주국가 지위를 눈감아줬던 건가요?

즉 같은 황제국으로 본다기보단 대외적으로도 같은 지위에 있는 자주국가로 눈감아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는 태조 왕건 때부터 황제국이었습니다. 고려는 임금을 부르는 칭호가 전하가 아닌 폐하, 세자 저하가 아닌 태자 전하, 임금의 명령을 교서가 아닌 조서나 칙서, 중앙 관청 체제는 당나라와 같은 3성 6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원구'가 시행되었습니다.

    고려 임금은 황제를 상징하는 '통천관'을 썼으며, 자황포를 입었습니다. 고려의 임금을 '해동 천자'라고 칭했습니다. 고려는 탐라국(제주), 여진(동번, 서번)을 제후국으로 삼았으며, 중국 문화가 들어오더라도 고려식으로 창조적으로 변화시켜 좋은 것은 받아들였습니다. 당시 고려는 다원적 천하관으로 천하의 중심은 여럿이라고 생각하여 고려가 중심인 해동천하, 중국 당이 중심인 중원천하로 구분하여 대했습니다.

    하지만 황제국이기는 하나 해동천하가 규모가 더 큰 중원천하와의 충돌을 피하고, 외교적으로 대응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천자에 대한 책봉을 받았고, 그 대가로 조공을 하였습니다. 당시의 책봉은 당의 황제가 내리는 것이 아니라 고려가 독자적으로 황제를 정하면, 그에 대해 국제적으로 인증하는 형식이었고, 그 인증에 대한 대가가 조공이었다고 보면 될 듯 합니다.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지만, 중국의 눈치를 보며 중국의 연호를 따른 적도 많았고, 천자의 책봉을 받고, 조공을 하였었다는 이유 때문에 독자적인 황제의 지위를 가진 국가가 아니었다고 폄하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제국간의 충돌을 피하고자 하는 외교책이었다고 보는 것이 옮을 듯 합니다.

    황제국이 아니면 할 수 없었던 황제의 관, 황제의 옷, 천자라는 명칭, 그리고 제후국, 그리고 성종 때에 이르러 원구단(토지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신전)도 마음대로 지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후 송과 거란의 사신이 왔을 때도 황제국 황제의 위치에서 중국 측 황제의 사신을 맞이 하였기에 동등한 황제국의 지위라고 인정할 수 있다고 봅니다.

    몽고가 중국의 통일하고 원나라가 세계 최강의 힘을 자랑할 때, 물론 수십년간의 고려와 몽고의 전쟁에서 고려가 패하기는 하였으나, 몽고는 고려를 인정하며 형제맹약까지 맺었었습니다. 몽고의 침략으로 전쟁에는 패했으나 국가는 지키고 유지한 유일한 국가가 고려입니다.

    자랑스러운 고려는 고구려의 후예이고, 대진국 발해의 후예입니다. 고구려도, 대진국도, 고려도 모두 황제국가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