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과 자기성찰이 왜 중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안광진 사회복지사입니다.
본인의 자기인식 및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스스로의 상태에 대해 점검하고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이 갖춰지지 않으면 정서적,경제적, 정신적으로 힘든 상태에 놓여진 대상자를 대함에 있어 소진이 빨리 올 수 있습니다. 자신에 대해 잘 이해하고, 어떠한 대상자를 만날 때 본인이 힘든지 어떻게 대해야하는지를 고민하다보면
대상자를 대하고 더 나아가 기관에서 일함에 있어 즐겁게 일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회복지 실천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와 상담을 함에 있어 자기 인식이 없다며 전이나 감정이입, 상대방에 대한 편견 등으로 상담을 하게 되겠죠 또한 실천을 함에 있었어도 자기 성찰이 없다면 클라이언트에 대한 편견으로 인해 개입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래서클라이언트를 대할 때 자기의 인식과 행동과 언행에 있어서 자기성찰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많은 앞에서 친하다는 이유로 말을 놓는다거나 하여 상대방은 기분이 나빴으나 사회복지사는 그러한 부분을 캐치못하였다면 다음부터 상대방은 사회복지사에게 거리를 두거나 하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왜냐면 도움을 받는 입장이고 자기표현과 주장에 능하지 못하다면 아마도 표현하기가 힘들기 때문이죠. 다시 말해서 클라이언트의 권리향상과 사회복지사의 능력 향상을 위해서도 필요한 것 같아요.
사회복지사가 가져야 할 조건 중 봉사 정신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신의 마인드 컨트롤이 되어야 상대를 배려하고 존중하고 마음을 이해하고 감정을 공감할 수 있기 때문 이지요.
즉, 자기 인식을 함양하는 한 가지 방법이 자기 성찰을 통해서 입니다.
여기에는 생각, 감정 및 행동을 분석하는 시간이 필요로 합니다.
자신의 경험을 성찰 함으로써 동기, 가치, 신념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자기인식은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가치, 신념, 태도, 행동습관 등을 깨닫고, 이것들이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계와 의사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자기성찰은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실천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과 감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자신의 가치, 태도, 행동에 대해 고민하며, 이를 통해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는 실천 중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나 갈등 상황에 대해 더욱 책임감 있고 성찰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도사람이며누군가르케어하기위해서는 본인의건강함이중요하기에
자기인식이나성찰이 되지않는다면
서비스제공시 원활하게 대상자와 라포형성하기힘들수있답니다
사회복지를 실천하려면 결국 그 원천이 사회복지사 본인의 마인드가 중요한것입니다. 마인드를 다잡으려면 자기성찰을 통한 방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