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리먼브라더스는 왜 서브프라임모기지라는 투자상품을 만들었던것인가요?

역대 세계 경제위기를 살펴보다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리먼브라더스 홀딩스는 왜 서브프라임모기지라는 상품을 만들었던것인가요? 위험성이 없다고 판단했던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용수 경제전문가
      이용수 경제전문가
      부산사회경제네트워크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미국의 주택담보대출의 등급을 이야기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재산과 수입이 안정되어 있는 고객에게 주는 Prime 등급(우량)

      2. Prime에 비해 채무불이행 위험도가 높지만 돈을 갚을 능력은 있다고 판단되는 Alt(alternative)-A 등급

      3. 돈을 갚지 못할 확률이 높다고 보는 서브프라임(SubPrime) 등급(비우량)

      당시 2001년부터 2년간은 프라임 등급의 대출이 주였습니다. 그러나, 프라임 등급 대출 고객들이 더이상 대출을 하지 않게 되자, 은행은 대출을 통한 수익 창출을 위해 서브프라임 등급의 대출에 신경을 집중했습니다.

      그들은 대출실적을 위해 신용 기준을 지속해서 완화하고, 결국은 소득이 없는 고객들에게도 대출을 해주는 지경에 이르고 맙니다. 이러한 것들이 누적된 끝에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가 벌어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시 부동산의 버블이 없다고 보기도 했고 너도나도 대출을 받아서

      집구매를 했는데 갑자기 부동산이 폭락하니 어쩔수 없었죠...경제적인

      부분을 미쳐 고려 못하지 않았나 싶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당시 각 금융기관이 경쟁적으로 이러한 투자상품을

      만들어 판매하여 수익을 챙겼고 이에 따라서 리먼 은행 또한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08년도 미국에서 발생하였던 리만브라더스 사태라는 것은 다른 말로는 2008년 금융위기 혹은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금융위기가 발생한 것은 '서브프라임 모기지'라는 상품의 붕괴로 인해서 발생한 것인데, 금융위기가 발생하게 된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미국의 저금리 통화정책

      2. 증시 및 주택시장의 활성화

      3. 주택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저신용자에 대한 주택대출상품 등장(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4. 주택담보채권(저당권)에 대한 증권화

      5. 미국의 금리인상 단행 (1%->5.25%까지 상승)

      6. 저신용자들의 이자상환이 불가능해지며, 주택대출(서브프라임대출)의 부실화 속출

      7. 집 값의 하락 가속화

      8. 집 값 하락에 따라 CDO(부채담보부증권) 손실 및 MBS의 원금 손실 발생

      9. 금융기관의 부실화 (베어스턴스에서 리먼브라더스로 더 큰 기관으로 부실화)

      10. 투자은행들(IB은행)의 붕괴

      서브프라임모기지에 대한 보험을 만든 것은 결국 '금융권의 탐욕'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보면 좋습니다. 이 당시 금융권의 생각은 '주택대출'은 절대 사람들이 연체를 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확신을 가지고 주택담보대출을 가지고서 여러가지 파생된 상품을 만들어 끊임없이 이익을 추구하였고 이로인한 결과물이 바로 2008년도 금융위기가 되었던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앨런 그린스펀 의장은 9·11사태 이후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초저금리 정책을 폈습니다. 미국 금융회사들은 이를 이용하여 주택대출을 확대하였고, 이는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이로 인해 신용과 소득이 낮은 사람에게도 주택 자금을 빌려주는 서브프라임 모기지도 활발하게 발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인 서브프라임모기지의 대출금리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주택가격 때문에 파산하더라도 주택가격 상승으로 보전되어 금융회사가 손해를 보지 않는 구조라고 생각했습니다. 증권화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은 높은 수익률이 보장되며 신용등급이 높은 상품으로 알려져 거래량이 폭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