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Bevet
Bevet23.02.03

금쪽이 이런 애들 정말 훈육 말로만 해도 가능한건가요?

과거 저희는 말 안 들으면 일단 한대 맞고 시작하거나 정말 많이 맞으면서 컷는데요

요즘 뭐 티비 보면 이런 폭력적인 것은 잘 못되었다 등 회초리 훈육에 대해 정말 부정적으로 이야기 하는데요

사실 말로만 하는 훈육은 애를 설득시키고 달래고 그러면 2~3시간 동안 설명하고 그래야 하는데

한대 쥐어박고 맞으면 10분 안에 끝납니다.

근데 왜 때리는 거를 그렇게 안 좋게 평가하는 것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때리는것은 문제 행동을 고치기 위한 가장 빠른방법입니다

    허나 이러한 행동의 위험한것은 잘못을 알고 수정하기 보다는 혼나는것이 두렵기 떄문입니다

    그렇기에 표면적으로는 문제가 없어진것처럼 보이나 추후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크게 나타날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여 훈육시에 떼리는것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올바른 훈육을 위해서 약간의 체벌은 괜찮다라고 하지만 그래도 물리적 체벌이 지속될 경우 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받게 될 것입니다.

    스트레스 호르몬이 뇌의 장기기억 공간인 ‘해마체’ 같은 뇌의 일부분에 독으로 작용할 수 있답니다.

    가급적 체벌은 하지 않는 게 아이의 정서에 좋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체벌로 훈육을 하게 되면 아이가 상처를 받거나 무서워서 잘못한 것을 잘 모르고 인정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훈육은 행동 교정을 하는 것 입니다

    체벌을 하게 되면 향후 사회성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아이도 아이이기 전에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인격을 존중 해 줄 권리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