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예절교육이 가능한 시기??
아이가 너무 어리면 예절교육이 효과가 없다고 하는데 아이에게 예절교육이 가능한 나이는 언제일까요?? 5살정도면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만 5세 정도면 훈육을 했을 때 말을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아이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이시기의 아이에게 행동 허용 범위를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소에 어울리는 행동을 통해 아이가 충분히 자유로운 행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세요.
타인을 위해 배려뿐만 아니라 우리가 지켜야 할 규칙에 대하여 알아야 하기 때문에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하는 행동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줄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문장을 이용하여 대화를 할 수있는 만 3세 이후부터 예절교육이 효과 있습니다.
친구나 어른을 만났을 때 하는 인사부터 존댓말까지 언어발달과 함께 실시 해주시면 효과가 좋으며 아이들은 부모님의 모습을 통해 배우고 익히는 부분이 많기때문에 부모님의 솔선수범이 교육에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5살이면 충분히 예절교육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모님도 평소에 예절이나 규범을 잘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아주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옛말에 3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고 하지요.
아이가 어느 정도 말귀를 알아먹고 대화가 가능하다면 그때 인성교육을 시키면 될 것 같아요,’
어릴 때 예절교육을 힘주지 않으면 아이는 버릇이 없을 것이고 막무가내로 행동할 것입니다.
인성교육과 예절교육은 부모의 몫이 아닐까 싶습니다.
또한 부모는 아이의 거울이니 부모의 행동도 조심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예절교육을 특별히 어느 정도 나이가 되면 가르치는 것 보다는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배워가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따라서 하는 모방 심리가 강하기 때문에 부모의 성향을 닮는 경우가 많답니다.
부모의 말투, 행동, 걸음걸이도 닮는답니다.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기 때문에 부모를 보면 아이의 심성과 됨됨이를 충분히 알 수가 있는 거지요.
그리고 자주 아이에게 인성교육, 예절, 양보, 배려에 관련된 동화책을 자주 읽어 주는 것도 예절교육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5살이라면 예절교육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예의있게 행동하도록
지속적으로 교육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생후 25~36개월 정도에 본격적인 식사예절 가르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전후에 “맛있게 먹겠습니다”, “잘 먹었습니다”라고 인사하는 것부터 소리 내지 않고 먹기, 흘리지 않고 먹기 등 바른 식습관을 가르쳐야 합니다. 이는 부모를 보고 금방 따라 하는 것들이므로 부모가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이 시기가 되면 욕구 통제 능력이 생기므로 자리에 앉아 음식을 기다리고 식사를 마칠 때까지 자리를 지키는 식사예절을 가르치도록 해주세요. 아이가 한 자리에 앉아 있는 것을 어려워한다면 식탁의자를 활용해 기다리는 법을 가르쳐주시누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