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하얀고슴도치236
하얀고슴도치23621.04.18

AWS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쓰는것이 로컬 서버를 두는것보다 장점이 무엇인가요??

AWS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쓰는것이 로컬 서버를 두는것보다 장점이 무엇인가요??

1. 초기 도입 비용이 저렴하다

2. 천재지변등에 리전이 다양한 AWS 가 더 안정적이다.

이 두가지를 제외하고 다른 로컬 서버보다 큰 특장점이 무엇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또 그와는 반대로 단점은 무엇이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1. 초기 도입 비용이 저렴하다

    2. 천재지변 등에 리전이 다양한 AWS가 더 안정적이다.

    > 이 두 가지를 제외하고 다른 로컬 서버보다 큰 특장점이 무엇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 또 그와는 반대로 단점은 무엇이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3. 초기 도입 비용이 저렴하면서, 관리비용의 가성비가 좋습니다.

    - 그냥 서버 하나 사고 전기세 돌리는 수준이라면, 유지비용은 로컬 서버가 유리하겠지만,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유지비용이 생각보다 가파르게 상승합니다. 또한, 규모가 커지면 문제 상황 발생 시의 대처를 해놔야 하고, 보안 문제에도 신경 써야 하지요.

    4. 보안 관리에 유리(2번 장점의 확장 개념)

    - 위에 설명에서 보듯이, 관리비용의 가성비와 더불어 보안에 신경을 덜 써도 됩니다. 혹자는 '구글이나 아마존에 우리 데이터가 있어서 거기 해킹당하면 위험한 거 아니야?'라고 하시는데, 개인이 운영하는 로컬 서버 해킹이 쉬울까요? 아마존이나 구글 클라우드 서버 해킹이 쉬울까요? 만약에 구글이나 아마존이 해킹당해 우리 서버 데이터가 해킹당했다 하면, 로컬 서버였으면 몇 번은 털렸을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5. 확장성

    - 서버의 생성과 삭제가 쉽습니다. 로컬 서버는 서버를 추가 구축하든, HDD를 붙이든 RAM을 붙이든 하드웨어적인 한계가 있는데, 아마존 같은 클라우드는 이미 엄청난 자원의 서버를 확보해놓고, 서비스로 생성, 삭제만 요청하면 손쉽게 자원이 늘어나죠.

    단점

    1. 속도

    - 아무리 대기업 클라우드 서비스라도 속도의 한계는 있습니다. 로컬 서버를 사용하면, 물리 서버 하나에 자신의 솔루션만 들어가겠지만, 아무래도 클라우드 서비스는 물리 서버 한 대에 수십, 수백 수천 이상의 장소에서 트래픽을 요청하기 때문이죠.

    2. 보안이슈 & 서버 장애

    - 이게 단점이라면 단점이지만, 장점으로도 볼 수 있는 내용입니다. 아무리 대비가 되어있다고 해도, 아마존 같은 큰 회사에서도 서버 장애가 발생하여 본의 아니게 서비스에 지장을 주기도 하죠. 다만, '로컬 서버를 썼으면 몇 배나 더 장애가 났었을 가능성이 크다'라는 점은 인지하셔야 합니다. 외국계 대기업의 기술력은 평균 이상으로는 보는 게 맞으니까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서 장애가 나더라도 새로운 인스턴스를 바로 만들어서 근방 복구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또한 순간적으로 트레픽이 증가하더라도 손쉽게 스케일 업을 할수 있다보니 확장이 쉽습니다.

    고사양의 서버한대를 구입하는 비용이 크기도 하고 설치까지 시간이 걸리다보니 이런점에서는 클라우드가 좋습니다.


  • 장점

    1. 온프라미스에 준비하는 것보다 빠른 배포가 가능합니다.

    2. 사용한 만큼 과금할 수 있습니다.

    (온프라미스에 구성하게 되면 도입비용이 큰만큼 보유하고 있는시간동안의 감가삼각비용 발생합니다)

    3. 다양한 기능의 연동이 쉬워집니다. (기능은 각 클라우드 사이트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크고 다양한 인프라를 갖추기 어려운 SMB 형태의 사업자에게 유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

    1. 한국에서 클라우드 산업이 외국만큼 활성화 되지 않는것은 렌트와 리스 개념이 존재하기 떄문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내부에서 내가 보호해야할 데이터가 외부에 존재한다는 개념으로 부터 외국 보다는 보수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2. 사용하기에 따라 로컬 서버로 구성한것보다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어 많은 과금 체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프로그래밍 지식 답변자 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로컬 서버에 비해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우선 로컬 서버 관리에 필요한 공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선, 냉각, 전원, 등 다양한 재해에 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노후된 부품이나 장비가 있을 경우 교체할 수 있는 숙련된 엔지니어가 필요합니다. 클라우드를 사용할 경우 재해는 자동적으로 대비가 되어 있으며, 노후 부품 및 장비는 클라우드의 데이터센터 엔지니어가 해결합니다.

    단점으로는, 사용자의 커스터마이징에 제약이 있다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 호스트 패치 시간을 사용자 마음대로 정하는 것이 제한적 입니다. 서버를 가상머신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특성상, 서로 다른 고객들이 사용하는 여러 대의 가상머신이 한 대의 호스트에 물려있으므로 각 고객의 서비스 시간에 맞춰 패치를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서비스 다운타임이 잠깐이라도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좀 더 비싼 가상머신을 사용하면 이 부분이 해결되긴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사장 큰 장점은 사용한만큼 돈을 내는 구조 입니다. 이말은 서비스 특성에 따라 탄력적으로 클라우드 서버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는 말입니다. 예를들면 내 서비스의 트래픽이 출퇴근시간에 몰리고 그외 시간에는 한적한 서비스라면, 트래픽이 몰리는 시간대에 오토 스케일링하여 사용하고 트레픽이 적은 시간대에는 off하여 사용한만큼 돈을 내는 것입니다. 반면에 로컬로 구성하게되면 트래픽이 적은 시간대에도 항상 최대 트래픽을 내는 서버를 구축하여야 합니다. 이외에도 클라우드와 로컬은 그 서비스특성에 따라 장단점이 존재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점은 처음 구성을 해보시자 마자 느끼게 되실 겁니다.

    로컬 서버에 뭔가 구성하려고 하면 일단 장비가 필요하죠.

    만약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장비라면 정리부터 시작 할 것이고, 장비가 없다면 구입 먼저하고 장비가 도착하길 기다리고 장비 도착 후 선 연결 후 기본 OS부터 설치할겁니다.

    여기까지 보면 OS구성 후 첫 부팅 시 까지 해야할게 많아 보입니다.

    하지만 클라우드를 사용한다면? 각 클라우드 포털에 접속하여 장비의 종류와 OS를 선택 후 만들기를 선택하시면 바로 사용가능한 서버가 준비 될 것입니다.

    단점이라면.... 꾸준히 비용을 내야한다?


  • 1. 초기 도입 비용이 저렴하다

    맞습니다. 또한 사용하는 양만큼만 과금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100만명의 사용자를 예상하고 서버를 구입하였는데 생각보다 사용자가 적다면 h/w투자비를 날리게 되는것이죠

    사업초기에 이런 리스크를 줄여줍니다.

    2. 천재지변등에 리전이 다양한 AWS 가 더 안정적이다.

    맞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로컬망으로 구성한 서버가 더 안정적일 수 있습니딘. 클라우드는 네트워크 죽으면 끝입니다.

    가량 제조업이라고 할때, 인터넷이 끊겼다고 공장을 세울 순 없겠지요

    3. 데이터가 곧 돈입니다.

    데이터를 타사에 맡긴다는것 자체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같은 큰 회사의 주요정보라면 더더욱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