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비둘기
비둘기23.05.08

고양이과 동물과 개과 동물을 나누는 정확한기준은 무엇인가요?

동물을 과별로 분류할때 대표적으로 나뉘게되는 두분류가 개과와 고양이과입니다. 예전부터의문점이 들었던것이 개가상식적으로 고양이보다더 크고 힘도세서 사자나 호랑이처럼 덩치가큰 동물들은 개과일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고양이과고 덩치가 작은 하이에나 혹은리카온이 개과 동물로 분류가 되더라구요.


개과와 고양이과를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과 동물은 유연한 척추와 좁고 긴 얼굴, 강한 발톱 등의 공통된 해부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개과 동물은 상대적으로 더 크고 단단한 척추와 짧고 둥근 얼굴, 덜 강한 발톱 등의 해부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과 동물과 개과 동물을 구분하는 기준은 주로 해부학적인 특징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고양이과 동물은 작은 크기를 가지며, 작은 머리와 눈, 긴 귀, 유연한 몸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양이과 동물은 주로 육식성이며, 발톱이 나뉘어져 있어서 사냥을 할 때 유용합니다.

    반면에, 개과 동물은 고양이과 동물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둥근 머리와 눈, 짧은 귀, 둥글고 뻣뻣한 몸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과 동물은 주로 초식성이며, 발톱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어서 땅을 파거나 식물을 뜯어먹을 때 유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양이과 동물은 대개 작고 가늘고 우아한 뼈대를 가지며, 귀가 길고 뾰족하며 눈이 큽니다. 발톱을 사용하여 사냥을 하고, 머리와 몸통의 비율이 작은 것이 특징입니다. 또 다른 동물들이 가지고 있지 않는 고양이과만의 특징이 있는데 그것은 혀 표면에 가시돌기가 있다는 점입니다. 반면에, 개과 동물은 일반적으로 더 크고 단단한 뼈대를 가지며, 귀가 짧고 둥글며, 눈이 작습니다. 이들은 발톱 대신 발바닥을 사용하여 땅에서 살아가며, 머리와 몸통의 비율이 큰 것이 특징입니다. 이들은 주로 초원이나 사막 지역에서 발견되며, 떼를 지어 사냥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과 : 개, 늑대, 여우, 코요테, 자칼, 승냥이 등을 포함하는 육식 또는 잡식성의 동물이다. 이들은 모두 발가락으로 걷는 지행동물이다.

    고양이과 : 식육목 동물 중에서도 가장 육식성이 강한 동물들의 과이다. 진화학적으로는 사향고양이과, 하이에나과, 몽구스과에 가깝다.

    고양이과 동물로는 고양이, 사자, 호랑이, 표범, 재규어, 치타, 스라소니, 삵, 퓨마, 서벌, 카라칼, 붉은스라소니 등이 있다.

    → 그리고 다른 동물들이 가지고 있지 않는 고양이과만의 특징이 있는데 그것은 혀 표면에 가시돌기가 있다는 점이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생태 구분기준은 그냥 고양이과/개과 입니다. 그것을 세분화된 생태로 구분하는 것일 뿐입니다.



    이 두 종은 생태구조가 다릅니다. 고양이과는 완전 육식 동물이기 때문에 같은 식육목이지만 소화기능에서 개과와 다릅니다. 고양이과의 귓부리 뒷쪽에 흰털과 검은 털 테두리가 있는것이 특징인데 고양이는 없습니다.


    또한 생태 활동도 체형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점프같은 특이한 행동에서 구분이 됩니다. 즉, 고양이과는 사냥에서 나무도 탈수 있는 발의 구조를 갖고 있어서 발톱이 들어가지 않는 치타도 나무는 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과는 잡식성 구조이므로 고양이과 보다는 내장구조가 많이 다릅니다. 외형/모피도 확연한 차이가 있으며 가금화된 개들은 이런 분류에 맞지 않습니다.



    특이한 예시로써...우리가 알고 있는 판다의 식성은 온전히 대나무 식성인데 생물학적 분류에서는 식육목이라고 합니다. 그 이유가 소화기관 구조가 그렇다고 하여 좀 아리송 하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