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23.05.31

미국과 양강 체제를 이루었던 소련이 붕괴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미국과 한때 양강 체제를 이룰 만큼 강대국이었던 소련이 붕괴된 원인은 무엇인가요?

미국과 양강 체제를 이루었던 소련은 어떤 이유에서 뿔뿔히 흩어졌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3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통령으로의 권력 이동의 마지막 부분에서 고르바초프가 개혁파와 보수파의 협공 속에 보수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음을 살폈다. 이 과정에서 발트 3국의 독립 요구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느냐의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었습니다. 발트 3국의 독립을 허용하는 경우, 그 영향은 다른 구성공화국들에게 미쳐 그들 또한 독립을 요구하게 될 것이며, 그렇게 될 때 소련이라는 연방이 유지될 수 있겠느냐의 근원적인 문제가 뒤따를 것이 예상되었습니다. 고르바초프는 1990년 11월 15일에 '신(新)연방 조약안'이라는 타협안을 내놓았다. 그것은 소련이라는 연방은 유지하되, 소련이라는 국호 곧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에서, 그리고 15개 구성공화국 국호 모두에서 사회주의라는 용어를 삭제하고, 각 구성공화국의 권한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뼈대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이미 독립을 요구하기 시작한 발트 3국을 비롯해 몰다비아와 아르메니아 및 그루지아는 이 안을 거부했으며, 정치적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옐친은 이 안에 대한 대폭적인 수정을 요구했다. 이 때만 해도 고르바초프와 옐친 사이에는 힘의 균형이 잡혀 있었다. 그래서 두 지도자의 타협 아래 9개 구성공화국이 참가해 '신연방 조약'을 체결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 시점인 1991년 8월 19일에 소련공산당의 보수파 지도자들은 이 조약의 체결을 막기 위해 국가공안위원회의 보수파 지도자들을 끌어들여 쿠데타를 일으키고, 비상사태위원회를 구성함과 아울러 모스크바의 주요 지점들을 무력으로 장악한 뒤 고르바초프에게 하야를 요구했습니다.

    고르바초프는 하야를 거부했다. 동시에 러시아연방공화국의 옐친 대통령은 모스크바 중심가에 자리잡은 러시아연방공화국 국회 의사당을 거점으로 삼고, 쿠데타에 반대하는 국민운동을 용기 있게 이끌었습니다. 2개월 전에 러시아연방공화국 역사에서 처음으로 마련된 대통령직에 압도적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기에 정치적 위상이 크게 높아진 옐친의 반쿠데타운동은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습니다.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도, 그리고 막 탈(脫)공산화의 길에 들어선 동유럽 국가들도 쿠데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

    국내외의 반대에 직면해 쿠데타 세력은 사흘만에 무너졌다. 동시에 소련공산당의 위신 역시 결정적으로 무너졌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쿠데타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8월 29일에 열린 소련의 최고소비에트는 소련공산당의 활동을 정지시키기로 결의했으며, 이로써 소련공산당은 마침내 종언을 고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렇다고 하여 고르바초프의 정치적 입지가 회복되지는 않았다. 그의 권위는 약화되었으며, 반면에 옐친의 영향력이 커졌습니다.

    옐친은 곧바로 고르바초프로 하여금 발트 3국의 독립을 허용하도록 압박했으며, 그 결과 발트 3국의 독립이 현실화되었습니다. 이것은 러시아연방공화국에 이어 소련에서 둘째로 큰 공화국인 우크라이나공화국으로 하여금 독립의 길을 걷게 만들었으며, 러시아연방공화국과 우크라이나공화국은 같은 슬라브 계통 공화국인 벨라루시(백러시아)공화국을 끌어들여 1991년 12월 8일에 '독립국가연합(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 CIS)'의 결성을 선언했습니다. 여기에 다른 공화국들도 찬성의 뜻을 밝혔고, 마침내 11개국이 12월 21일에 카자흐스탄공화국의 수도 알마티에서 '독립국가연합'의 창설을 선언했습니다. 이로써 소련은 해체되었으며, 고르바초프는 1991년 12월 25일에 소련 대통령직을 사임했고, 핵무기 통제권을 소련의 계승자로 공인된 러시아연방공화국의 대통령 옐친에게 인계했다. 미국은 12월 26일에 러시아연방공화국을 소련의 계승자로 공인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소련의 해체 (러시아사, 2006. 11. 15., 김학준, 위키미디어 커먼즈)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회주의의 한계로 노동생산성이 매우 낮았기 때문에 겉만 화려했을 뿐 속은 곪아터지다가 임계점에 도달하여 붕괴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소련은 붕괴이유가 자멸입니다. 특히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해서 위성국가로 만들려는 노력이 계속 저항으로 실패하고, 설상가상으로 이슬람 형제를 돕겠다고 여러 이슬람 국가들이 지원하고 미국은 소련을 엿먹이려고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들에게 스팅어 같은 최신식무기로 지원해줍니다.

    진퇴양난에 빠진 소련은 결국 군대를 철수시키고, 붕괴되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