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 제사를 맏아들이 지내게 되었는지요?
조선 초기에만 해도 조상 제사는 형제자매들이 돌아가면서 지냈었으나 언제부터인가 장남이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하는데 언제부터였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사는 상속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조선 중기까지 균분상속으로 제사도 윤행봉사(輪行奉祀)였습니다. 윤행봉사(輪行奉祀)는 남녀, 재가의 자손 등 모든 자손들이 차별없이 조상의 제사를 돌아가며 지내는 것을 말합니다.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 자손들이 돌아가면서 제사를 지냈는데, 이것을 윤행(輪行)이라 하였으며, 자손들이 비교적 가까운 곳에 살았고, 재산상속(균분상속)이나 제사 모시는 일에 아들 딸 구분이 없었기에 가능하였습니다.
17세기에 이르러 남녀차별로 인한 재산상속 차별되고 장자 상속으로 변화됩니다. 따라서 제사도 종손(양자를 들여서라도)의 부각으로 장자가 책임지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부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정실이 낳은 장자가 제사를 모신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2008년부터 우리나라는 장자가 아닌 아들이나 딸도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법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사상이 조선에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가족내에서 구성원들간의 역할이 분담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이후로 장남이 현재까지도 제사를 지내는것이 전통으로써 어느정도 남아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