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진리의 샘
진리의 샘23.04.13

대체효과와 소득효과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대체 효과와 소득효과는 경제학에서 아주 중요한 개념이라고 하는데요. 대체효과와 소득효과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체효과라는 것은 제품 간에 상대적으로 비싸지게 된 제품은 구매량이 감소하게 되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해진 제품의 경우에는 구매량이 증가하게 되는 효과를 말합니다. 이 대체효과는 해당 국가의 국민들의 '실질소득'이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가정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예를 든다면 A제품이 100원에서 90원이 된다면 구매량이 증가하게 되고 B제품은 100원에서 110원이 되면서 구매량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소득효과라는 것은 특정 제품의 절대가격의 인하 또는 인상으로 인해서 실질소득의 증감이 발생하게 되어 제품 구매량이 변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쉽게 말해서 임금이 고정되어 있고 다른 물건들의 가격 또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1개'의 제품 가격의 가격 변동으로 인한 소득의 변동을 말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든다면 A제품의 가격이 100원에서 110원으로 인상되는 경우 나의 '고정월급'인 100만원으로 구매할 수 있는 양이 1만개에서 감소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체 효과는 상품 가격 변화에 따라 소비자들이 다른 상품으로 대체하는 경향을 말하며. 이것은 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대신 가격이 낮은 다른 상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죠.

    소득 효과는 소비자의 구매력이 변할 때 발생하는 효과를 말하는데,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하면 그들이 구매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의 양이 증가하며, 반대로 소비자의 소득이 감소하면 구매력이 감소하여 더 적은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게 되는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체효과는 제품 간 상대가격 변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비싸진 제품은 구매량이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제품은 구매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의미한다. 실질소득 불변을 전제로 한다. 소득효과는 특정 제품의 절대가격 인하 또는 인상으로 인한 실질소득 증감에 의해 제품 구매량이 변화하는 효과를 의미하며, 제품 간 상대가격 불변을 전제로 한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체효과는 상품 간 상대가격 변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비싸진 제품은 구매량이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제품은

    구매량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득효과는 특정 제품의 절대가격 인하 또는 인상으로 인한

    실질소득 증감에 의해 제품 구매량이 변화하는 효과를 의미하며

    제품 간 상대가격 불변을 전제로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재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면,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재화로 소비를 대체하는 것을 대체 효과라고합니다.

    소비자의 구매력이 변화하고, 그 재화의 소비량이 변화하는 것을 소득효과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