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원화 가치는 언제쯤 회복될까요?
선진국인 우리 대한민국의 원화가 2020년대초반에는 1달러에 1,100원대 초반에서 2024년 4월 현재에는 1,300원대 중후반에서 등락을 하고 있습니다ㆍ
언제쯤 1,100원대로 회복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환율 전망에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원화 가치 회복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환율은 복잡한 경제 변수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기 때문이지요.
원화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살펴보면,
1. 한국의 경제 펀더멘털
- 경제 성장률, 무역수지, 물가 등 거시경제 지표
- 정부 정책, 기업 실적 등 미시적 요소
2. 미국 등 주요국 통화정책
- 미국 금리 인상 속도, 양적 긴축 등 통화정책 기조
- 달러화 가치 변동이 원화 가치에 직접적 영향
3. 글로벌 금융시장 환경
- 세계 경기 둔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은 안전자산 선호로 이어져 원화 약세 압력
- 반대로 경기 회복, 위험 선호 심리는 원화 강세 요인
4. 외국인 자본 유출입
- 경상수지, 자본수지 등을 통한 외화 자금 유출입
- 외국인 증시 투자 자금의 유출입 등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한국보다 높은 상황으로, 이는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세계 경기 둔화 우려,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높아진 점도 부담이라 할 수 있겠네요.
다만 최근 한국 경제는 수출 증가, 경상수지 흑자 등 대외 건전성 면에서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이 점진적으로 해소되고, 수출 호조 등이 이어진다면 중장기적 관점에서 원화 가치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외환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진 만큼 환율 흐름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기라 하겠습니다. 정책 당국의 환율 안정화 노력과 함께, 우리 경제의 체질 개선을 위한 노력도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원화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한 것은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격차가 심화되었기 때문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부채리스크로 인해서 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오히려 금리를 누르게 되면서 문제가 되었어요. 이러한 환율이 다시금 하락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인상하거나 혹은 미국이 빠르게 금리를 인하해야 하는데 현재 진행만 놓고 본다면 내년이나 되어야지 환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중동 지역에서의 전쟁 등이 화해에 이르고
미국의 금리인하 등이 있어야만이 원화가치가
회복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원화 가치의 회복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원화 가치가 조금이라도 줄어드려면 세계적인 달러 수요가 줄어들어야 하고
이란-이스라엘 전쟁 같은 경제의 악재들도 사라져야 할 것입니다.
다만, 1,100원대로 원-달러 환율이 내려갈 가능성은 매우 희박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