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세심한양245
세심한양24522.07.29

물가는 왜 오르는건가요????

수요가 많고 공급이 적어서 그런걸까요??

물가 올리는거 외에는 다른방법이 없는건가요??

물가가 오르면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물가는 크게 수요견인 인플레이션과 공급견인 인플레이션으로 나뉩니다.

    •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은 경제가 활황이고 앞으로도 밝은 미래를 나타내는 좋은

      인플레이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공급을 통해

      수요 공급을 맞추는 방법이 있습니다.

    • 공급견인 인플레이션은 현재 상황을 나타냅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원자재 및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여 나타난 인플레이션으로 경기 상황과 관계없이 찾아오는

      인플레이션으로 가격이 올라 오히려 소비도 줄고 경기도 침체되는 효과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 물가가 천천히 오르는 것은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는 지표로 좋은 의미 이지만,

      특정 이벤트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여 오는 상황은 사회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를 힘들게 하는 인플레이션이 요즘과 같은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는 계속하여 통화발행량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화가 많아지다보니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오르는 것입니다.

    물가가 매년 약간씩 상승하는 것은 좋은 일이나 현재처럼 인플레이션이 급등한다면

    가계 및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사회가 혼란스러워 집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아닙니다. 꾸준히 화폐의 양(돈의 양)이 늘어나서 물가가 오르는 것이며, 사실상 꾸준히 물가는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 경제성장을 위해 돈을 계속 찍어내야하므로) 물가가 오르면 그만큼 기업의 매출, 이익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경제는 성장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로나 장기여파로 시중에 풀린 유동성 자금등으로 화폐가치하락에 따른 금리인상 정책과 고유가 및 곡물공급 불안에 따른 물가상승을 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물가의 경우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서 발생합니다. 또한 , 대규모의 유동성 공급으로 화폐가치가 떨어질 경우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금리인상 외 대규모 공급확대가 방법이나 현재 물가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는 곡물이나 에너지의 경우 대규모의 공급확대가 제한적이라 쉽지 않습니다.

    물가가 오르면 개인의 가처분소득 감소로 생활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는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