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영양제

한약에 감초가 많이 들어간다고 들었는데..

나이
33
성별
남성

약방에 감초라고 한약을 지을때 감초가 많이 들어 가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약에 감초가 많이 들어가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약초꾼 손상진 한의사입니다.

    인터넷에 떠도는 감초를 설탕보다 당도가 50배 높다느니 항암작용까지 있다느니

    이런 것들은 아 그렇구나 하고 듣고 잊으시기 바랍니다.

    감초는 한약의 대명사 격으로 웬만한 처방에 다 들어가 있는 중요한 약입니다.

    산지에 따라 양외감초 신강감초 유럽감초 등이 있답니다.

    와 유럽에서도 옛날부터 감초를 약재로 썼답니다.

    우리나라는 자생조건이 좋지 않아 자연산 아예 없고 재배산은 아주 드물게 있습니다.

    우리나라 재배산이 드물기도 하고 약효도 거의 적어서 안 씁니다.

    양외감초가 내몽고 양외 지역에 자연적으로 자생하는 것으로 제일 상품입니다.

    굵기에 따라 특 1호 2호 3호 나누며 3호가 제일 하품입니다.

    감초는 ]맛이 매우 달고 미는 덥지도 차지도 않고 평합니다.

    1.비위장을 보강하여 기운을 올려서 인삼 백출 백복령과 배합되어 사군자탕이 됩니다.

    2.청열해독의 작용이 있어서 종창이나 인후통에도 씁니다.

    3.폐를 윤택하게 해서 기침을 멈추게 합니다.

    4.모든 약들을 조화롭게 합니다. 즉 감초가 들어가면 다른 약들이 잘 조화되게 어우르게 합니다.

    4번의 기능으로 약방에 감초라는 별칭이 생긴 것이죠.

    이건 모르셔도 되지만

    감초는 독성 약초인 감수 대극 완화 와는 상극 입니다.

    좋은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양외감초 특호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 안녕하세요. 최진우 한의사입니다.

    한약에 여러가지 약재가 들어갈때 감초를 함께 넣게 되면 약재끼리 더 조화롭게 해주고 단맛으로 약맛도 더 좋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감초가 한약에 자주들어갑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