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23.11.05

구석기때의 인류는 충치에 크게 시달리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구석기때의 인류를 조사하면 충치가 아예없는건 아니지만 거의 시달리지 않았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매우 문명화도 안되어있던 그 구석기 시대에는 충치가 왜 거의 발생하지 않았는지 그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빨이 썩게 하는 원인 중에 하나는 당 입니다.

    당류를 섭취하게 되면서 충치가 많이 생기게 된 것인데요. 과거에는 특별히 당이 함유된 음식이 없었기 때문에 충치 환자가 거의 없던 것으로 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석기 시대에는 이가 썩을만한 음식을 섭취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충지가 많이 없었는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충치가 점점 생겼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석기 시대의 인류는 주로 야채, 과일, 육류를 섭취했습니다. 이러한 음식은 설탕 함량이 낮기 때문에 충치가 발생할 위험이 적습니다. 반면, 현대인의 식단은 설탕, 탄수화물이 풍부합니다. 이러한 음식은 충치의 원인이 되는 산을 생성하여 치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구석기 시대의 인류는 음식을 생으로 섭취하거나 간단하게 조리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음식에 함유된 섬유질을 파괴하지 않아 치아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면, 현대인은 음식을 잘게 썰거나, 익혀 먹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음식에 함유된 섬유질을 파괴하여 치아에 더 많은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치아가 충치가 생기기 위해서는 치아 주변의 산성화되어야 합니다.

    당분이 높은 음식이 구강내에 있을때 분해가 되면서 산성이 되는데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은 당분이 높은 음식을 구하기 힘들었을수도 있고 음식이 잘 정제되어 있지 못해서 섬유질이 있는 음식을 먹다보니 구강내의 이물질이 잘 제거될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식단: 구석기 시대의 인류는 대부분 식단이 원시적이고 즉석식이었습니다. 그들의 식단은 대부분 신선한 고기, 어류, 과일, 채소 등 천연 식품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식단은 현대의 과일주스, 설탕, 가공식품 등과는 매우 다르며, 구석기 인류는 치아를 파괴하는 설탕과 같은 고당도 식품을 섭취하지 않았습니다.

    2. 가공식품 및 설탕의 부재: 구석기 시대에는 가공식품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설탕과 같은 고당도 식품이 거의 없었습니다. 설탕은 치아를 파괴하는 균에게 영양분을 제공하므로, 설탕 섭취가 적었던 구석기 인류는 충치 발생 가능성이 낮았습니다.

    3. 구강 위생: 구석기 인류는 구강 위생에도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식사 후에는 입을 물로 헹구거나 자연적인 방법으로 치아를 깨끗하게 유지했습니다. 또한, 구강 내 치아를 손상시키는 석회질과 같은 물질이 부족했기 때문에 충치 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4. 진화적인 요인: 충치는 세균인 균에 의해 발생하며, 인류의 구강 환경과 균의 진화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구석기 시대의 인류는 이러한 균과의 긴 시간 동안 공존하며 진화적으로 상호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공존은 충치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석기시대에는 사람들이 이를 닦지 않아도 충치가 생기지 않았다고 합니다.

    기원전 1만 2000년의 구석기시대에 살았던 장두개골 인류에서는 충치가 발생되었던 흔적이 없습니다. 충치는 신석기 시대에 생긴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인류학자들은 이것이 식생활의 변화와 관련되었다고 말합니다.

    1970년 영국의 고분에서 발견된 1,658개의 두개골 중 충치 경험을 가진 치아를 조사한 결과 신석기 유골에서 2.94%, 청동기 유골에서 21.68%, 철기 유골에서는 40.67%가 발견되었습니다.

    인류가 도구와 불을 사용해 음식을 조리하여 더 맛있는 먹거리를 먹게 될수록, 충치도 함께 증가하게 된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구석기 시대의 인류는 충치에 크게 시달리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 음식의 종류와 양

    구석기 시대의 인류는 주로 채집과 사냥을 통해 식량을 획득했습니다. 따라서 그들이 섭취하는 음식은 주로 과일, 채소, 견과류, 고기 등 탄수화물이 적은 음식이었습니다. 충치는 음식물 찌꺼기와 박테리아가 결합하여 생기는 질환이기 때문에, 탄수화물 섭취가 적으면 충치 발병률이 낮아집니다.

    • 구강 내 박테리아

    구석기 시대의 인류의 구강 내에는 충치균이 적게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구석기 시대의 인류가 현대인에 비해 구강 내 박테리아의 다양성이 적었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박테리아의 다양성이 적으면 충치균이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어렵습니다.

    • 치아의 구조

    구석기 시대의 인류의 치아는 현대인의 치아에 비해 더 단단하고 덜 부서지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구석기 시대의 인류가 현대인에 비해 딱딱한 음식을 더 많이 섭취했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