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을 따진다면 수소차량과 전기차량 중 무엇이 더 친환경적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차도 요즘 많이 나오고 있고 그 사이에 수소차량도 나오는 것을 보니
어떤 기술이 더 친환경적인지 알고 싶은데, 수소차량과 전기차량 중 무엇이 더 친환경적일까요?
비용적 측면은 제외하고 비교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사용되는 에너지 기준으로 보자면 전기차가 수소차보다 친환경적인 이다라고 볼수 있지만,
수소 생산 방식이 친환경적으로 바뀌며 전력 생산이 재생에너지로 전환되면 친환경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전기차의 경우, 친환경성은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에 크게 좌우됩니다. 화력 발전처럼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전기가 생산된다면 전체적인 친환경성이 낮아질 수 있으나,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사용한다면 매우 친환경적입니다. 또한, 배터리 생산 및 폐기 과정에서의 환경 부하도 고려해야 할 부분입니다.
수소차의 경우, 수소를 어떻게 생산하느냐가 친환경성의 핵심입니다. 천연가스에서 추출하는 방식(그레이 수소)은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하는 그린 수소를 사용한다면 생산 과정의 환경 부하가 거의 없습니다. 수소를 저장하고 운송하는 과정의 에너지 효율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전기차와 수소차 모두 궁극적인 친환경성은 사용하는 에너지(전기 또는 수소)가 얼마나 친환경적으로 생산되는지에 달려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한 기술이 일방적으로 더 친환경적이라고 단정하기보다는, 에너지 생산 방식 전반의 친환경적인 전환 노력이 두 기술 모두의 환경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앞으로 수소차량이 더 친환경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수소차는 수소 연료 전지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서 모터를 구동하는 차량입니다. 수소는 물을 이용하여 쉽게 얻을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이기 때문에 앞으로 수소차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소차는 배출가스가 없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또한, 충전시간이 짧고 긴 주행거리를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소 충전소가 부족하여 인프라가 제한적이며 초기 구매 비용이 높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전기차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구동되고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 받는 차 입니다. 배출가스가 없고 소음이 적으며 연료비가 저렴하고 유지비가 낮게 듭니다. 현재는 정부에서 보조금 혜택을 주고 있어 구매시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여 충전하는데 불편하고 초기 구매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차 충전을 위해 발생되는 전기는 화석연료 사용으로 사용되는 전기가 대부분이기에 전기차를 유지하기 위해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