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굳건한사마귀212
굳건한사마귀21222.09.25

탄산음료는 왜 흔들면 폭발하나요?

폭발이라는 뜻이 좀그렇긴한데,

탄산음료는 왜 흔들면 폭발처럼 터져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이산화탄소?가 왜 터져나오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를 구매하면 냉장고의 차가운 환경에서 꺼내 상온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그러면 탄산음료의 온도는 조금 올라가게 되죠. 그리고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액체에 더 잘 용해(녹아)됩니다. 또한 압력이 높을수록 더 잘 용해됩니다. 탄산(이산화탄소)이 탄산음료에 용해되어 있는데, 냉장고에서 꺼낸 탄산음료는 온도가 높아진 상태로 탄산이 액체에 녹아있는 정도가 작아집니다. 즉, 탄산이 음료에서 공기중으로 나오려고 하죠. 그런데, 온도가 높아진 환경에 놓인다고 음료에 있던 탄산이 곧 바로 나오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태를 과포화상태라고합니다. 그리고 이 상태는 굉장히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이 상황에서 흔들어주면 상태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며 과포화상태를 깨버리게됩니다. 그래서 탄산이 급격하게 나와 거품이 발생하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액체속에 녹아있던 이산화탄소가 흔들면 액체에서 방출하려하고 이로인해 캔내에 압력이 발생하고 뚜껑을 열면 분출되는것입니다.


  • 탄산음료에는 이산화탄소가 녹아있습니다.

    탄산음료를 흔들게 되면, 이산화탄소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것과 같고,

    이산화탄소의 용해도가 조금씩 낮아지면서 이산화탄소가 음료에서 조금씩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뚜껑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못하니,

    뚜껑을 열 때 갑자기 폭발하듯이 이산화탄소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를 흔들게되면 상층부에 있던 공기들이 공기방울이 되어 콜라내부로 들어갑니다.
    공가방울 중 일부는 콜라병쪽에 붙어있게됩니다.

    이 때 뚜껑을 열면 벽에 붙어있던 공기방울이 팽창하면서 콜라를 위로 밀어올려 폭발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