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는 자동차의 바퀴 휠이 거꾸로 돌아가는 것 같은 착각이 들때가 있습니다. 이것은 어떤 원리로 이런 착시가 생길까요?
자동차를 타고 가다보면 옆에서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바퀴 휠이 거꾸로 돌아가는 것 같은 착각이 들때가 있습니다. 진짜로 역회전하는것은 아닐것 같고 착시 같은데 이것은 어떤 원리로 이런 착시가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사람의 눈이 인지할수 있는 초당 프레임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빠른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물체를 보았을 때 특정 패턴으로 멈춰있거나 뒤로 움직이는 듯한 착시를 보게되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주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를 보게 되면 우리 눈은 따라갈 수 없게 되어 해당 물체가 정지 또는 역회전하는걸로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착시는 "와건 효과"라고 불리며, 주로 오토바이나 차량과 같은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의 바퀴가 거꾸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이는 시각적 인지와 운동 감각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입니다.
와건 효과는 주로 다음과 같은 원리에 기인합니다:
프레임 속도와 빠른 움직임: 우리의 시각 체계는 정지한 물체와 움직이는 물체를 구분하고 추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의 경우, 우리의 눈과 뇌가 그 움직임을 정확하게 처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바퀴의 스포크나 패턴이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이 움직임이 눈에 잡히지 않고 뇌는 이 움직임을 정확하게 처리하지 못하여 착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 속도와 셔터 속도의 조화: 카메라나 눈이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보기 위해서는 적절한 프레임 속도와 셔터 속도가 필요합니다. 셔터 속도는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의 움직임을 얼마나 잡아낼 수 있는지에 영향을 줍니다. 만약 셔터 속도가 빠르지 않거나 프레임 속도와 조화되지 않는 경우, 움직이는 물체의 움직임이 잘못된 방식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주변 환경과 시각적 정보: 차량의 바퀴가 빠르게 회전할 때, 주변 환경과의 시각적 대조가 착시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습니다. 주변 환경에 비해 바퀴의 움직임이 빠르면, 바퀴의 움직임이 비현실적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빠르게 움직이는 차량의 바퀴가 거꾸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일종의 착시현상입니다.
사람의 눈은 초당 200프레임정도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퀴의 회전수가 사람의 눈으로 인지가능한 회전수를 넘어서게 되면 정지해 있거나 역회전 하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유는 눈이 인식한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은 이동한 곳을 인지해야 하지만 실제론 이미 해당 위치를 지나서 이전 인지한 프레임 직전 위치를 보게 되어 마치 역회전 하듯 느끼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리는 장동차의 바퀴가 거꾸로 돌아가는것 처럼 보이는건 스트로보 효과의 일종으로 착시현상입니다 우리의 눈이 빠르게 움직이는 바뀌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의 바퀴가 빠르게 회전할 때, 우리 뇌는 이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휠을 바라보면, 뇌에서는 휠의 일부가 앞으로 이동하고 일부가 뒤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회전 상쇄 원리' 또는 '스토베 이펙트'라고도 불립니다. 이 원리는 회전하는 물체의 일부분이 빠르게 움직이는 동안, 다른 일부분은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느리게 느껴져서, 뇌에서는 이를 일관성 있는 움직임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자동차를 타고 가다보면 옆에서 달리고 있는 자동차의 바퀴 휠이 거꾸로 돌아가는 것 같은 착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 현상은 페르디난드 브루크너 착시라고 불리며, 19세기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페르디난드 브루크너가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이 착시는 자동차의 바퀴 휠이 빠르게 회전할 때, 바퀴의 일부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바퀴의 일부가 보이지 않으면, 눈은 바퀴의 속도가 느려지는 것처럼 착각하게 됩니다. 이 착각이 더욱 심해지면, 바퀴의 방향이 바뀌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의 바퀴는 회전하는데, 이 회전 속도가 스트로보스코프 효과와 일치하면 바퀴의 회전이 정지한 것처럼 보입니다. 이때 바퀴의 스포크나 패턴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면, 스트로보스코프 효과로 인해 바퀴가 거꾸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 착시는 빛의 주기적인 광선과 회전하는 물체의 주기적인 운동이 일치할 때 발생합니다. 빛의 주기와 물체의 운동 주기가 일치하면 빛이 물체의 위치를 일정한 간격으로 새기게 되고, 이로 인해 물체의 운동이 멈춘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바퀴휠이 거꾸로 돌아가는 것 같은 착각은 "스토벨 현상" 또는 "와거 현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현상은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차량에서 발생하는데, 특정 조건에서 바퀴가 실제로는 정상적으로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찰자의 시각적인 인식으로 인해 바퀴가 거꾸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스토벨 현상이 발생할 때 주변 환경과 배경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도 중요합니다. 만약 주변 환경이 정지해 있는 상태라면, 프레임의 회전 속도를 기준으로 바퀴가 거꾸로 돌아간다고 인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