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기계부품 모델링 작업에서 필렛과 라운드의 차이
기계부품을 3D 프로그램(크레오나 오토데스트)으로 모델링 하는 과정을 공부 중에 있습니다. 이때 모델링을 하기 위한 도면을 보다 보면 필렛과 라운드가 있는데 두 개의 차이를 모르겠어서 질문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많은 캐드 소프트웨어에서 이 두 용어를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하거나 필렛을 좀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경향이 잇지만, 전통적인 기계 설계에서는 명확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필렛(fillet) - 오목한 모서리의 둥근 처리
전통적인 의미 : 주로 내부의 오목한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면이 안쪽으로 만나는 날카로운 모서리에 곡면을 추가하여 부드럽게 만드는것입니다.
주요 목적 : 응력 집중 완화, 부품의 강도 향상, 주조 시 유동성 개선 등에 활용 됩니다.
라운드(round) - 볼록한 모서리의 둥근 처리
전통적인 의미 : 주로 외부의 볼록한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면이 바깥쪽으로 만나는 날카로운 모서리에 곡면을 추가하여 부드럽게 만드는 것입니다.
주요 목적 : 조립시 부품 손상 방지, 작업자의 안전 확보(날카로운 모서리 제거), 미적 개선 등에 활용됩니다.
CAD 소프트웨어에서의 사용 : 대부분의 3D CAD 프로그램(예:크레오, 솔리드 우거스, 오토캐드 등)에서는 fillet 명령 하나로 내부 모서리(필렛)와 외부 모서리(라운드) 모두를 처리할수있도록 통합되어 있습니다. 즉, 어떤 모서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프로그램ㄹ이 자동으로 해당 기능을 수행합니다. 일부 소프트웨어에서는 round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fillet 이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필렛과 라운드는 같은 의미이며, 똑같이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3D tool인 Creo, Catia, Solidworks 등도 똑같은데요. Autocad에서 굳이 나누자고 하면 형상의 내측 모서리를 둥근 모서리로 줄 때 필렛, 외측 모서리를 라운드라고 하긴 합니다. 하지만 둘은 같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