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풋풋한참매36
풋풋한참매3622.12.28

금리인상으로 물가상승을 어떻게 억제한다는건가요?

금리가 인상되는게 돈의 가치가 상승한다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금리인상의 이유는 물가상승을 막기위해서인건데 어떻게 억제가 되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을 통한 인플레이션의 억제 과정은 다음의 순서대로 이해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금리 상승

    •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개인들의 이자비용 부담 증가

    • 이자비용 부담 증가로 인한 개인들의 소비감소 및 저축증가

    • 소비침체로 인한 기업들의 판매실적 하락 및 재고 증가

    • 악성재고 판매를 위해서 재고 저가판매 및 생산량 감소

    • 기업들의 실적 부진으로 '구조조정' 단행

    • 실업률 증가로 인한 수요 감소와 물건 가격 하락

    위와 같이 금리가 인상되면 개인들의 지갑이 얇아지게 되면서 소비침체에 이어서 경기침체까지 발생하게 되며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감소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화폐의 가치 상승으로 인한 물건의 상대적인 가격 하락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인상하면 은행권으로 자금이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중앙은행이 시중의 통화를 빨아들여 통화량을 줄임으로써

    물가의 상승폭 등을 제한함으로써 물가상승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와 인플레이션은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없습니다. 금리는 돈을 빌리는 비용이며 인플레이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제에서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일반적인 증가를 측정합니다.

    미국 연방 준비 은행과 같은 중앙 은행은 인플레이션을 관리하고 물가 안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로 금리를 사용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을 때 중앙 은행은 경제를 둔화시키고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줄이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격 상승 압력을 줄이고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인플레이션이 너무 낮을 때 중앙 은행은 수요를 자극하고 경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금리를 낮출 수 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으로 다시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금리와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가 복잡하고 이 두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많은 요소가 있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중앙 은행은 인플레이션을 관리하고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도구와 기술을 사용하며 종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화 및 재정 정책의 조합에 의존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이 진행되는 돈의 가치는 상승하는 반면 자산의 가치는 떨어 뜨리고, 또한 금리인상은 기업의 투자를 억제하고 개인의 가처분소득을 감소시켜 물가상승의 원인인 초과수요를 억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금리는 곧 돈의 가치인데, 돈은 재화, 서비스의 대표적인 교환수단입니다. 즉, 이 교환수단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소비를 억제시키고, 돈의 가치를 높여 물가를 잡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돈의 가치(이자)가 상승한다는 것은 반대 급부인 재화나 자산의 가치는 하락한다는 뜻 입니다. 그 뜻은 소비자들이 소비를 오늘 당장 하는 것이 아니고, 은행 적금/예금에 저축하여, 예전보다 높아진 이자율을 통해서 이자 수익을 확보 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재화/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억제가 되고, 이 영향으로 각 기업들은 매출 하락과 재고 증가를 경험하게 되면서, 판매가격을 내리는 등의 노력을 할 것이고, 비용 감축을 위한 고용 감축과, 여유 자금 확보를 위한 투자 축소 등의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런 현상이 지속된다면 경기 하강을 동반한 물가 하락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으로 돈의 가치가 상승한다면 자금이 예금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품의 소비나 설비투자 등은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한 전반적인 수요감소가 일어날 경우 초과공급이 발생하여 물가하락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올리고 내리는 것은 시장에 시그널을 준다는 의미가 매우 큽니다.

    금리를 올린다는 것은 현재 경기가 너무 팽창되어 있어서 이를 좀 냉각시키겠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금리를 내린다는 것은 경기가 침체되어 있어서 다시 부양시키겠다는 뜻이죠.

    금리를 올리면 시중금리도 올라가게 되어 대출 수요가 줄어들고 저축 수요가 늘어나게 됩니다.

    대출을 하겠다는 것은 그 돈으로 다른 곳에 이용을 하겠다는 것인데 대출이 줄어들면 시중에 통화량이 줄어들죠.

    경기가 확장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럼 물가도 어느 정도 낮아지게 되는 효과를 노릴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통화정책은 정책이 효과가 나오는데 시차가 존재해서 당장 가시적인 게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 효과가 나오는 것이 6개월 정도 잡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