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23.05.17

하늘의 색상이 바뀌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하늘의 색상이 구름이 끼지 않고 맑을 때는 파란색을 띄고 아침 저녁에는 빨간 빛을 띄는데 이렇게 하늘의 색상이 바뀌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바로 '빛의 산란' 때문이다

    노을 또는 놀은, 새벽이나 아침 또는 저녁에 태양 광선이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져서 태양 광선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대기 중에서 산란되고, 파장이 긴 빨간색은 산란되지 않아 하늘이 빨간색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의 색상이 바뀌는 이유는 태양 빛의 파장이 산란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태양 빛은 일반적으로 흰색에 가까운데, 대기 중에서 산란되면서 파장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보입니다.

    대기 중에서 빛이 산란되는 정도는 파장에 따라 다릅니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과 파란색 빛은 다른 색보다 더 많이 산란되어 하늘을 푸르게 만듭니다. 따라서, 낮 시간에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자외선과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일반적으로 빨간색 빛은 산란되는 정도가 적어서 하늘이 빨강색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몰이나 일출 시간에는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이 있어서 빨간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일출이나 일몰 시간에는 하늘이 빨강색, 주황색, 노란색 등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대기와 부딪치게 되고 산란을 합니다. 그 다양한 색상중 대기와 부딪쳐 특히 파란색이 우리 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즉 산란 색상중 파란색 영역이 가장 많아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저녁에는 빛이 대기를 더 많이 지나오게 되는 데 그 과정에서 파란색은 산란이 더 많이 발생하여 사라지고 빨간색과 주황색 노랑색은 산란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산란되지 않고 그냥 지나친 빨간색 주황색 노랑색이 우리눈에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중에 빛의 진행경로를 방해하는 물질들이 산란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의 색상이 바뀌는 이유는 태양 빛이 대기를 통과할 때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대기는 분자와 미세 입자로 이루어져 있어서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르게 산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