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급생이 아닌 다양한 학년의 아이들과 노는건 어떤것에 도움이 되나요?
아이가 동급생이 아닌, 다른 학년의 여러 친구들과 함께 교류하면, 인간관계를 맺음에 있어서 어떤 도움이 되는건가요?! 시야가 넓어지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동급생이 아닌 다양한 학년과 놀이를 한다면
언어적, 인지적 및 사회적 기술 부분에 도움이 될 순 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학년과 어울리면서 특히 조심해야 할 부분은 언어와 행동 입니다.
아이에게 좋은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인 요소가 많기 때문에 아이에게 옳고.그름을 인지시켜 주고
안 좋은 행동과 언어는 사용하지 않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가 동학년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년의 친구들과 교류하면 사회적 기술을 키우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나이에 상관없이 협력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배울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다양한 학년의 아이들과 노는 것은 아이의 사회성, 리더십, 문제 해결 능력등 여러 중요한 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른 연령대의 친구들과의 교류를통해 보다 다양한 경험과 시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다양한 학년의 아이들이 함께 노는 것은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연령대가 다른 친구들과이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는 더 다양한 사람과 소통하고 그들과의 관계에 필요한 대화법 등을 배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만약 자신보다 어른 아이들과 놀게 되면 책임감이나 리더십을 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연령대와 소통하는 방법들도 배우게 됩니다.
단점으로는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수준 차이에서 오는 갈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동급생이 아닌 다른 학년이랑 놀이를한다면 동급생에서 할수없는 놀이를 할수있으며
사고의 영역이 넓어질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아현 유치원 교사입니다.
자신보다 높은 연령의 학년들과 교류를 하게 되면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의 범위가 현재보다 확장될 수 있고, 어린 연령의 학년들과 교류를 하게 되면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전달해주는 과정에서 지식의 내용들이 머리 속에서 더욱 정교화될 수 있으며 타인에게 도움을 제공하거나 양보, 배려 등의 친사회적 행동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더불어 여러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 속에서 관점의 다양성을 인식하게 되어 편협하지 않고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나이가 많은 아이들과 교류하면, 아이는 그들의 어휘력과 표현 방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됩니다. 동급생끼리는 언어 수준이나 표현 방식이 비슷하지만, 다른 학년 아이들은 더 복잡한 문장이나 표현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 아이가 이를 듣고 자연스럽게 언어 능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말을 잘 하는 법을 배우거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동급생들과만 놀면 그들만의 세계에 갇히게 되지만, 다양한 학년의 아이들과 교류하면 시야가 넓어집니다. 더 나이가 많은 아이는 경험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 이는 아이가 세상에 대해 더 많은 관점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며, 자기만의 생각을 확장할 수 있게 합니다. 다양한 학년의 친구들과 교류하면서, 아이는 협력과 사회적 책임감을 배울 수 있습니다. 나이가 많은 아이와는 자연스럽게 리더십을 배우고, 어린 아이들에게는 배려와 책임감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래와만 있으면 자연스럽게 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에 갇히기 쉬운데, 나이가 다양한 친구들과 어울리면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고 협력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이런식으로다가 동급생이 아닌 다양한 학년생들과 놀면 협력심을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