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rogermaan
rogermaan22.11.19

물이 얼어 얼음이 되면 고체로 변하면 부피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물이 0도 이하로 내려가면서 얼음이 되어 고체로 변한다고 가정했을 시 그 부피 크기는 더 커지는 가요 아니면 더 작아지는 가요 아니면 변화가 없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9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아지면 밀도가 높아지고 부피는 작아집니다. 액체가 고체보다 부피가 큰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물은 반대로 얼음의 부피가 더 큽니다. 물의 분자구조가 산소를 중심으로 2개의 수소원자가 특정 각도를 가지고 있어서 물이 얼때 가장 안전한 육각형의 구조을 이루며 이 육각형 구조가 얼음의 부피를 커지게 합니다.


  • 물의 밀도는 4도에서 가장큽니다.

    밀도가 크면 부피대비 질량이 크다는 뜻인데,

    물이 4도에서 가라앉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얼음이 되면 부피가 증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음이 되면 부피가 증가합니다.

    물은 얼면서 구조가 육각형 모양을 이루게 되면서 부피가 액체 상태일때보다 더 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진답니다. 수소결합 때문에 육각형 구조를 만들기 때문에 커지죠. 대부분의 물질은 원래 고체가 되면 작어진답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음으로 변화하면서 그 안에 있는 분자가 특별한 결합을 하게 됩니다. 그 결합을 수소결합이라고 합니다. 물 분자들의 결합보다 단단한 결합으로 물의 밀도보다 작아서 물에 뜨게 됩니다. 그래서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크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