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깨끗한오색조199
깨끗한오색조199
23.11.04

반딧불은 어떻게 불을 만들어서 반짝이는 것인가요?

반딧불은 어떻게 불을 만들어서 반짝이는 것인가요?

불이라기 보다는 빛이 나는거 같은데요.

어떤 원리로 빛을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근면한하마253
    근면한하마253
    23.11.04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는 어떻게 빛을 낼까요?

    발광생물 중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반딧불이는 아랫배 끄트머리 두세째 마디에 발광기관이 있습니다.

    이 안에서 발광단백질인 '루시페린'과 발광효소인 '루시페레이스'가 생산되는데, 이들이 산소와 결합하면 루시페레이스가 루시페린을 산화하며 빛을 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1.04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은 화학 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빛을 통해 자신의 몸을 보호하고 생존 전략을 수행하는 곤충입니다. 반딧불은 루시페린이라는 화학 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물질은 산소와 결합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빛을 발산합니다. 이러한 빛 발광 현상은 반딧불의 신경계를 통해 조절되며, 생존 전략의 일부로서 사용됩니다. 반딧불의 빛은 불이 아니라 생물 발광 현상으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생물 발광 현상은 반딧불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들에서도 관찰될 수 있으며,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이해가 더욱 증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세포기관에서 만든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이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빛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이 빛으로 신호를 보내거나, 적을 피하거나, 먹이를 유인하는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물이의 발광기관에서 생기는 물질이 공기중의 산소와 만나게 되어서 발광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