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외로운고래123
외로운고래12323.02.03

밤에 나방이나 모기가 불빛에 모여드는 이유?

밤에 불빛이 있으면 나방하고 모기들이 가로등이나 불빛에

모여들어서 가득한데요.

왜 하필 그 불빛들에 모여드는 걸까요?

벌레들의 본능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3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물이 빛에 반응하여 욺직이는 현상을 주광성(phototaxis)이라고 합니다. 햇빛을 향해서 욺직이는 생물도 있고, 햇빛을 피해서 어둠속으로 이동하는 생물도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진화의 과정에서 자신의 생존에 유리한 방향으로 정해진 반응 입니다. 나방과 같은 다양한 곤충들이 빛을 향해 달려드는 것은, 야간에 달빛을 중심으로 방향을 파악하는 기능 때문이고, 가로등과 같은 불빛을 달빛으로 인식하여 발생하는 반응입니다. 양의 광주기성을 보이는 곤충도 애벌래 시절에는 음의 주광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주광성의 성질을 갖은 벌레들이 주로 그렇습니다.

    주광성이란 외부에서 발생하는 빛의 자극에 따라 이동하는 성질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을 쫒는 성향을 주광성이라고하는데요

    날벌레들은 주로 주광성을 가진 벌레들이 많습니다

    반대로 바퀴벌레나 귀뚜라미등은 빛을싫어해 반대로가게됩니다


  • 밤에 불빛에 모이는 나방이나 모기의 이유는 자연 현상으로, 불빛이 있는 곳에 모이는 본능적인 습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나방과 모기는 야행성이며, 밤에는 광원을 찾아 다니며 이동합니다. 이때 불빛에 대한 본능으로 빛을 따라가는 것입니다. 이들은 불빛의 방향을 찾아갔다가, 불빛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되어 모이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본능은 광학적인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불빛은 나방이나 모기에게 유혹적인 복사선으로 작용하며, 불빛에 비친 빛의 각도와 세기, 색상 등이 나방이나 모기에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들은 불빛에서 방출되는 자외선과 적외선 등의 복사선을 인지하여 방향을 찾아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방은 낮에는 새의 공격을 피해 숨어있다 밤에 움직이는데 달빛은 어두운 곳에서 방향을 잡아주는 나침반 역할을 합니다. 나방은 불빛을 달빛으로 오인해 모여들었다 다시 달빛을 찾아 주위를 맴도는데 사람들은 나방이 불빛을 좋아하는 것으로 오해하는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방은 야행성 곤충이다. 낮에는 자고 밤에만 활동한다. 먹이 찾기나 번식도 모두 밤에 한다. 어두운 밤에 움직이기 위해선 뭔가 나침반이나 지도 역할을 해줄 것이 필요하다. 나방은 수백년에 걸친 진화 끝에 하늘에 떠있는 별 들, 특히 달빛을 나침반 대용으로 이용할 줄 알게 됐다. 달빛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목표물을 찾아 비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인간이 인공 조명을 발명하면서 나방들은 헷갈리게 됐다. 특히 달빛과 비슷한 은은한 등불이 근처에 있으면 나방의 착각 은 더욱 심해진다. 나방은 등불을 기준으로 삼아 날아갈 방향을 탐색하게 된다. 특정한 광원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비행하는 방법은 광원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 밖에 없다. 나방은 점점 작아지는 동심원을 그리며 광원을 향해 맴돌아 들어가다 결국 전구에 부딪히거나 타 죽는 운명에 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달빛 보다 훨씬 밝은 조명 주변에도 나방이 모여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곤충학자들 가운데는 나방이 이를 낮으로 혼동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사람이 많다. 잠을 자야 할 시간으로 알고 자꾸 밝은 등불에 내려 앉으려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