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유연한비단벌레50
유연한비단벌레5022.07.25

대상포진 예방주사 효과에 대해서

나이
65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고혈압약
기저질환
고혈압

대상포진 예방주사를 맞았는데도 걸리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예방주사를 꼭 맞아야하는지? 대상포진에 걸린 사람은 예방주사가 필요없는지 아니면 맞아야하는지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70-79세에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0세 미만에서는 대상포진의 위험도가 현저히 떨어져 유병률이 낮고, 백신 예방접종으로 인한 면역력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그 효과는 감소하므로 특정 연령대가 아닌 경우에는 접종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50세 이상 기감염자의 경우에도 백신 접종은 권고됩니다. 일반적으로 대상포진의 재발확률이 5%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이전 감염에 대한 진단이 잘못되었거나 불분명하므로 백신 접종으로 인한 부스터 효과가 충분한 이득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접종은 감염 후 1년 후에 접종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과거에 수두에 걸린 뒤 회복된 사람에게 바이러스가 비활성화 상태로 피부의 신경절에서 존재하다가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다시 활성화 되고 피부 병변 및 통증 등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로 노인에서 면역력 저하 되며 발생하지만 당뇨 등의 만성 기저질환자에게도 더 쉽게 발병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냥 건강한 사람에게도 발병은 가능합니다. 대상포진에 걸리면 빠른 항바이러스제 투약이 예후에 필수적이므로 반드시 빠르게 진료를 보아야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 예방 주사를 맞으면 발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그것이 만능은 아니며 면역력이 저하되면 얼마든지 재발할 수 있습니다. 그렇더라도 예방주사는 권고되며 대상포진에 걸렸더라도 접종이 권고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의 효괴와 필요성에 대해 궁금하신듯 합니다.

    대상포진 백신을 접종할 경우 접종하지 않았을 때보다 대상포진의 발생빈도는 51% 감소하였고, 이는 최근의 코로나19 백신에서도 볼수 있는 것처럼 모든 백신의 예방효과가 100%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혹시라도 접종 후 대상포진에 감염이 되더라도 증상이 비교적 덜 심하고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빈도는 66% 감소하였습니다.

    단, 50세 이상에서 접종이 가능하고 이미 걸리신 분들은 대상포진에서 회복하고 6-12개월 후에 예방접종을 하시도록 권장드립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대상포진에 걸릴 확률을 낮춰주고, 신경통을 줄여줍니다.

    따라서, 맞으시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대상포진에 걸렸던 사람도 예방 접종을 맞으시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대상포진을 앓은 후 6개월 정도 지난 뒤 백신을 맞는 게 안전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