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새마을운동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0년대에 일어난 범국민적 지역사회 개발운동이라고 합니다.
근면·자조·협동의 기본 정신과 실천을 범국민적·범국가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국가발전을 가속적으로 촉진시키려는 목적으로 진행된 운동입니다.
새마을운동에 대한 정의는 논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다른 모든 기획적 사회변동계획과 마찬가지로 새마을운동도 발의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변화과정을 거쳤습니다.
첫-한국고유의 농촌통합개발의 성공적인 유형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새마을운동이 도시지역에도 확대되어 이른바 도시새마을운동이 전개됨에 따라 새마을운동을 지역사회개발적인 기본 틀에서 총체적인 국가발전을 위한 범국민운동이라고 보는 견해입니다.
-새마을운동이 범국가적인 지역사회개발의 본질을 지녔다고 보는 것이다. 새마을운동의 기본철학이나 접근·집행 방법 등은 지역사회개발사업의 그것에 직결되어 있으며 농촌·도시를 총망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분명한 것은 새마을운동은 정부의 절대적 지원으로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단순한 농촌개발사업을 넘어 공장·도시·직장 등 한국사회 전체의 근대화운동으로 확대·발전하였다는 것입ㄴ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난에서 벗어나 잘 살아보자는 운동으로 농촌경제 발전과 농가소득 향상을 목표로 시작되었습니다.
공업 중심의 경제개발로 농업의 중요도가 낮아져 도시와 농촌간의 소득격차가 발생하자 농촌문제가 사회문제가 되었고, 집권당의 전통적 정치기반을 흔들 수 있는 정치적 불안요소가 되어, 이에 대한 대책으로 추진한 것이 새마을 운동입니다.
새마을 운동은 농촌 지역에서 시작되었으나 차츰 도시로 확대, 전국적인 운동이 되며, 운동의 성격도 잘 살기 운동에서 올바른 정신을 강조하는 정신운동으로 바뀌었으며, 당시 낙후된 농촌 환경을 개선하고 우리 경제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세계적으로도 농촌 개발의 좋은 사례로 평가 받아 아프리카의 빈곤 지역에서 이 운동을 본 딴 지역 개발 운동이 이루어지며 , 새마을 운동은 별도의 중앙 조직이 세워지면서 민간 중심의 운동으로 변모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마을운동은 1970년 근면·자조·협동 정신과 ‘잘 살아보세’라는 구호를 바탕으로 빈곤퇴치와 지역사회개발을 위하여 1970년부터 전개된 운동으로 농촌경제발전과 농가소득 향상 등을 이끌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