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커버드콜이 유행인데 하락장 리스크 말곤 없나요
커버드콜 상품들 보면 연 10~15%상품들이 즐비한데....
상승장 상승폭을 다 못먹는다
대신 연 꾸준한 고배당으로 햇지
하락장에서는 좀 늦게 나타겠지만 etf가격하락으로 하락장 반영
이런점들이 있는것 같은데....
이것 말고 더 참고해야할 사항이 있읅가요?
투자후 꾸준한 월 고배당을 활용 성장배당주를 투자하여 커저리지하면 어떩가요?
커버드콜과 같은 경우엔 ROC 이슈도 있습니다.
ROC 란 나의 자본금으로 나에게 배당을 주는 것을 말하는 등 그리고 상승장시에
상승폭을 모두 먹기 힘들며 시장지수도 장기간 이기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커버드콜은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콜 옵션을 팔아 프리미엄을 받는 전략으로, 일반적으로 주가가 일정 수준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될 때 선택됩니다. 이전에는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하락장에서는 리스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커버드콜 전략은 보호되는 주식의 가격이 하락할 경우에는 손실을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되지만, 전체적인 시장이 하락할 때에는 완전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가가 상당히 하락할 경우에는 커버드콜 전략이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또한,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얻는 프리미엄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하락장에서의 손실을 상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버드콜은 주식 시장이 일정 수준 이상의 상승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는 경우에 적합한 전략이며, 하락장에서의 리스크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합니다. 투자자는 이러한 전략을 사용할 때 주식 시장의 변동성과 상황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하락장 리스크 말고는 크게 없다고 봐도 됩니다. 다만 그게 얼마나 큰 리스크냐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
나스닥 커버드콜과 나스닥지수를 비교하면
커버드콜은 나스닥이 폭등할때 상승분의 대부분을 못따라갑니다. 큰 상승 뒤에 큰하락이 온다고 했을때 하락은 상당부분 반영될수있습니다.
나스닥 지수 etf는 큰 상승을 했으니 큰하락이 와도 조금 괜찮을수있지만, 커버드콜은 상승은 조금밖에 못먹고
하락만 맞으면 손실이 클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커버드콜마다 설계된 구조가 다를수있기때문에 극단적인 예시를 든 것이라고 이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커버드콜이라는 것은 주식에 대한 매수 포지션과 함께 콜옵션 매도를 함께 취하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 커버드콜 전략은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서 주가 하락시에는 콜옵션이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보니 옵션 프리미엄 차익을 얻어서 주가하락에 따른 손실분을 만회할 수 있으며, 반대로 주가가 상승하게 되면서 콜옵션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콜옵션 프리미엄 가격만큼의 수익을 얻는 방법으로 운용을 하게 되는 것이에요
이러한 커버드콜 방식은 하락장에서도 충분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서 리스크가 적은 운용전략이라고 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