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깐깐보써니
깐깐보써니
23.09.23

지구의 자전에 의해 밤에 달이 지평선 넘어 사라지기도 하나요?

그제 저녁 가족과 반려견 산책중 목격한건데 초등달이 었는데 밤10시경이 되면서 지평선 넘어로 달이 빠른속도로 내려가더라구요.. 평생 살면서 그광경을 처음보는데 원래 한달에 두번 그렇게 지평선 넘어로 사라지는것인지.. 밤과 낮에 일어나는 자연현상이 있는줄로 알고 있었는데 밤10시경에 그렇더라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23.09.2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니요, 지구의 자전에 의해 달이 지평선 넘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는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달이 지평선 아래로 가려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지구의 자전은 지구가 자기 축 주위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말합니다. 이 자전으로 인해 우리는 일상적으로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달도 지구 자전에 의해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따라서, 달이 지평선 아래로 사라지는 것은 지구의 곡선 모양과 시야의 한계 때문입니다. 달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면서 시야에 가려지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달이 점점 작아지다가 사라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밤에도 달이 지평선 넘어 사라질 수 있습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하루에 360도 회전합니다. 달은 지구를 공전하면서 지구의 자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따라서 밤에 달을 보면 마치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달이 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는 지구의 대기에 의해 굴절되어 더 크게 보입니다. 따라서 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는 달이 더 빠르게 이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보름달과 그믐달은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입니다. 따라서 보름달과 그믐달은 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 더 잘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