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자유로운풍뎅이41
자유로운풍뎅이41

미국의 금리인하와 경기침체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미국의 금리인하가 시작되면 큰 경기침체가 오히려 크게 올 수 도 있다는

말을 들었는데요.

경기침체를 막기위해서 금리인하를 시행하는것 아닌가요?

왜 금리인하를 하면 오히려 경기침체가 올 수 도 있다는 말이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는 일반적으로 경기 부양을 위해 사용되는 정책 도구입니다.

    금리를 낮추면 대출이 더 저렴해지고, 소비자와 기업이 더 많이 돈을 빌려 쓰게 되어 소비와 투자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고 경기가 회복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인하가 항상 긍정적인 효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금리인하가 오히려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우려: 금리 인하는 통화 공급을 증가시켜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감소하고, 경제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결국 경기 침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자산 거품: 낮은 금리는 주식, 부동산 등 자산 시장에 자금이 몰리게 하여 자산 가격을 인위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산 거품이 발생하고, 거품이 터질 경우 경제 전반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저축 감소: 금리가 낮아지면 저축의 매력이 감소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자본 축적을 방해하고,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금융 불안정성: 지속적으로 낮은 금리는 금융기관의 수익성을 악화시켜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금융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면 신용 경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인하와 경기침체에 대한 내용입니다.

    금리 인하가 되기 위해선 소비자 물가가 내려가야 합니다.

    소비자 물가가 내려간다는 것은 곧 소비가 둔화된다는 것이기에

    금리 인하가 된다는 것은 소비 둔화를 의미하고 이는 곧 경기 침체가 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오히려 라고 표현을 했다는 것은, 당연히 금리인하로 경기가 좋아질건데

    오히려 나빠질수 있다 라고 설명을 한것이겠죠

    교과서 같은 말이기는 합니다만., 경제라는 게 입장이 다 다르기 때문에

    큰 틀로보면 금리인하가 좋지만, 부유층, 서민, 소상공인, 기업 각자의 사정에 따라 달렸다 이말입니다

    금리인하가 당장되더라도 서민들이나 현재 운영이 어려운 소상공인들이 당장 소비가 가능할가요

    침체가 올수도 있고, 좋아질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입니다, 전문가들이 말하는거 다 반반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경제는 선반영을 하기에 이에 따라서

    금리인하를 한다는 것 자체가 경기침체에 대한 위기감을 조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실물경제가 위축되기에 경기침체가 올 수도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는 경기를 활성화시키고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여 경기침체를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가 지나치게 이루어지거나 경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 오히려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금리 인하로 인해 금융 시장이 과열되어 금융 거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로 인해 투자가 증가하고 소비가 증가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거나 자원의 낭비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