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23.06.10

과거 실크로드는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가장 번창한 시기는 언제인건지 궁금합니다.

동서양의 교역을 담당했던 실크로드가 있단것만 알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이 실크로는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가장 번창했던 시기는 언제인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왜 실크로드가 나중에는 막히게 된건지 그 이유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넓은 의미의 실크로드는 기원전 10,000년 전후 빙하기가 끝난 후 문명이 발생하고 인류의 대이동이 시작되었는데, 이때부터 생겨난 몇 갈래의 교통로로서 지금까지 문명 간 교류의 통로로 기능하는 것을 지칭한다. 반면에 좁은 의미의 실크로드는 기원전 8~9세기부터 만들어져 근대 이전까지 기능한 동서문명 교류의 통로를 지칭한다. 초원길과 오아시스길의 경우 중앙아시아의 도시국가나 유라시아의 유목국가들에게는 부와 국력의 원천이기도 했으며, 사산조 페르시아부터 일 칸국에 이르기까지 서아시아의 국가들에게도 경제적으로 굉장히 중요했다. 그러나 16세기에 대항해시대가 열리면서 대서양 바다를 통한 대양무역이 확대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초원길과 오아시스길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줄어들게 된다.


    물론 그렇다고 이 길이 완전히 "쇠퇴"했다고 볼 수는 없다. 대항해시대의 중요성에 주목하는 서구 중심적 옛 사관에서는 내륙 실크로드가 교역루트로서 몰락했다고 간주하기도 했지만, 이쪽도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퍼센트가 줄어들었을 뿐 16세기 이후에도 이들 유라시아 내륙교역로의 무역랑의 절대량은 계속 증가했으며, 티무르 제국과 제국 붕괴 이후의 코칸트 칸국, 부하라 칸국, 히바 칸국 등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가 러시아, 페르시아, 인도, 중국을 엮는 삼각무역의 요충지로서 전성기를 지내며 번성하였다. 러시아는 이곳에서의 모피 무역을 비롯한 각종 교역에서 얻은 자본을 통하여 표트르 대제의 서구화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한다. 실크로드 지역이 러시아 제국에게 완전히 정복되는 건 한참 이후의 일이다.


    근대에는 러시아에 의해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비롯해 여러 대륙횡단철도가 부설되었으나 냉전시대 철의 장막으로 공산권 내부의 교통로 역할로 그 입지가 줄어들었다. 그러다 냉전이 끝난 21세기에는 옛 실크로드를 달리는 철도의 유용함이 주목받고 있다. 안전성[3], 속도 등에서 철도 수송이 해운보다 효율이 좋기 때문이다. 원래 대항해시대가 시작된 결정적인 이유는 이슬람 세력(오스만 제국)에 의해 육로 교역길이 막혔기에 새로운 교역길을 만들기 위한 것 때문이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크로드가 가장 번성 했던 시대는 당나라 시대 입니다. 원나라 떄에도 당시 비단길을 통해 서양과 아시아의 인적 교류 또한 많아졌는데요. 이전 유럽에서 동아시아까지 여행을 하는 유럽인들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으나 마르코 폴로의 아시아 여행은 비단길을 이용하였다고 전해졌다고 합니다. 이태리의 베네치의 상인 마르코폴로 일행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거쳐 원나라로 먼 여행을 떠났고 당시 동아시아에 직접 가본 유럽인은 매우 적었기 때문에 동아시아는 미지의 지역이였고 마르코 폴로의 여행기록은, 동방견문록> 으로 정리되어 후세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하지만 교역 보다는 정복 전쟁을 좋아하던 원나라 이후 실크로드는 점점 그 세력이 약화되었습니다.


  • 넉넉한키위191님 안녕하세요. 실크로드는 교역과 문화 교류의 중심이었던 중요한 경로로, 그 시작과 변천 과정에 대해 이야기해 드리겠습니다.

    실크로드는 기원전 2세기 중반, 중국의 한나라 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때 한나라의 위모제왕은 서로 분리된 세력을 통합하면서 서진을 시작하였고, 이 과정에서 중앙아시아에 있는 서역과의 접촉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중앙아시아와 중국 간의 교역로가 형성되면서 실크로드의 초석이 놓여진 것입니다.

    실크로드가 가장 번창했던 시기는 로마 제국과 중국의 한나라가 동서를 잇는 주요 통로로 이 길을 사용하면서였습니다. 그 이후로도 여러 번 퇴보하고 부흥하는 과정을 겪었으나, 특히 몽골 제국이 전성기를 맞이할 때 실크로드도 다시 한번 활성화되었습니다. 이 때, 몽골 제국의 통치 아래서는 실크로드를 통한 교역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15세기 이후 유럽의 대항해 시대가 도래하며, 해상 교역로가 발달하게 되자 실크로드의 중요성은 점차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해상 교역로를 통해 효율적이고 빠르게 물품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또한 오스만 터키의 진출과 같은 정치적인 변동 사항으로 인해 이 땅을 지나는 교역로의 안전성이 저하되었고, 이는 실크로드의 암흑기를 불러왔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비단길 또는 실크로드(Silk road)는 근세 이전 중국 대륙과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의 지중해 세계를 잇던 동서 교역 루트, 또는 이러한 교역 루트를 통해 연결되었던 교역망을 이른다. 이 루트를 통해 동서 간의 문물이 왕래했으며 비단길이 지나가는 곳마다 크고 작은 도시나 마을이 생겼다.


    넓은 의미의 실크로드는 기원전 10,000년 전후 빙하기가 끝난 후 문명이 발생하고 인류의 대이동이 시작되었는데, 이때부터 생겨난 몇 갈래의 교통로로서 지금까지 문명 간 교류의 통로로 기능하는 것을 지칭한다. 반면에 좁은 의미의 실크로드는 기원전 8~9세기부터 만들어져 근대 이전까지 기능한 동서문명 교류의 통로를 지칭한다. 초원길과 오아시스길의 경우 중앙아시아의 도시국가나 유라시아의 유목국가들에게는 부와 국력의 원천이기도 했으며, 사산조 페르시아부터 일 칸국에 이르기까지 서아시아의 국가들에게도 경제적으로 굉장히 중요했다. 그러나 16세기에 대항해시대가 열리면서 대서양 바다를 통한 대양무역이 확대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초원길과 오아시스길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줄어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