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사랑이라는 감정은 과학 계열에서 어떻게 설명하나요
최근에 유전학에 관심이 생겼는데 과학계에서는 사랑을 대를 이어가는 수단으로 볼까요? 그리고 동물에게도 사랑이라는 감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사랑에 빠지게 되면 신체 내부에 화학적 변화가 생깁니다.
크게 호르몬을 보면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생산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 두 가지 호르몬이 주로 사랑하는 사람의 매력을 느끼도록 합니다.
그리고 아드레날린이 혈압을 높이고 맥박을 빠르게 해서 심장이 두근두근 뛰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측정할 수 있다면 사랑에 빠졌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랑이라는 감정은 도파민이 만드는 감정으로 낭만적 사랑, 구애하고 싶은 욕망 등의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호르몬을 강제적으로 이용할 수는 없지만, 만약 처음에 별 감정이 없던 사람이더라도 같이 자극을 받는 활동을 함으로써 도파민이 분비된다면 사랑의 감정을 느낄 수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동물에게서는 본능으로 짝짓기를하거나 새끼를 돌보는 책임의식 같은것은 있다고 합니다.